본 21세기 두 번째 10년기를 맞아 한국교회 장년목회는 일종의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교회 장년목회는 목회자와 평신도 공히 교회의 지나친 제도화 과정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양적으로는 정체를 넘어 감소의 덫에 걸려 있고, 질적으로는 문화지체(cultural lag) 현상과 함께 교회교육의 질적 저하, 관계적으로는 교회구성원들의 끝없는 갈등과 대립, 사회적으로는 신뢰 상실을 넘어 안티기독교 세력의 급증이 한국교회 장년목회의 위기를 가중시킨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기현상에 대한 교육목회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한국교회 장년교육목회 속에 노정되는 다양한 문제들의 핵심주제가 무엇인가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분리와 단절’, ‘대립과 갈등’이라는 근원적 문제가 교육목회의 다양한 환경과 맞물려 여러 가지 역기능과 파열음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금의 상황과 문제들의 다양성과 심각성을 제시한 후, 새로운 변화를 위한 변화의 구조를 찾아보고 변화를 위한 역동적 연계시스템으로서 다이아몬드 시스템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다이아몬드 시스템은 총회-교회-신학교-전문연구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로서, 변화를 위한 리더십, 변화의 핵심주체로서의 목회자 리더십 개발과 함께 회중에 대한 분석적, 통계적, 객관적 연구를 촉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교회의 내적 변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교회의 외적 변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Facing the second decade of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adult ministry of the Korean church comes to the verge of a significant crisis. Not only clergy but also laypeople of the Korean church undergo all encompassing problems exposed in the process of excessive institutionalization. On the quantity wise the Korean church is trapped by decrease as well as stagnation. On the quality wise the Korean church is trapped by degrading quality as well as cultural lag. In the relational dimension the Korean church suffers from the high level of friction and antagonism among the church members. In the social dimension the Korean church keeps on losing trust and respect of the society. So-called anti-Christian groups which are against Christian churches are gaining their power more and more. All theses phenomena play their roles in increasing the level of crisis of the Korean church. This study is geared toward a formulation of analysis of these phenomena from the perspective of an educational ministry. Through this analysis the key themes inherent in theses problems such as “separation and isolation’ and ‘opposition and conflict’ are to be identified. These key themes are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ministry of the Korean church. As an attempt to provide a possible solution to the status quo problems this study will suggest ‘diamond system’. ‘Diamond system’ signifies a system which interrelates general assembly-church- seminary-research institution as a dynamic unity for making a desirable change in the status quo of the Korean church. For the desirable change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ing strategies such as leadership development and congregational study. Based upon this foundation, innovative ideas for the inner and outer change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of the Korean church will be provided as the last step.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목회의 정의: 협의 vs. 광의
Ⅲ. 교육목회의 중심축과 교육목회의 유형
Ⅳ. 한국교회 교육목회 위기의 문제: 분리와 단절 & 대립과 갈등의 문제
Ⅴ. 교육목회 위기의 거시 구조: 교단 리더십
Ⅵ. 교육목회위기의 미시 구조(개교회 리더십): 목회자-장로-부교역자
Ⅶ. 변화의 가능성: 협력, 상생, 샬롬의 회복
Ⅷ. 변화의 두 영역과 핵심 주제
Ⅸ. 변화를 위한 방안
Ⅹ. 21세기 장년 교육목회의 대안: 하나님나라 구현을 위한 교육목회(대립-대결-분쟁에서 협력-상생-샬롬목회로의 전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