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35.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대교의 탈무드를 통한 통전적 교육

A Study on the Whole Education though the Talmud of Judaism

본 연구의 목적은 유대교 탈무드 경전을 분석하여 유대교 탈무드의 통전적 교육을 탐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첫째, 탈무드 교육의 목적은 유대인들의 전 공동체적인 삶이나 유대인 개인적인 삶 가운데 하나님의 선택받은 민족인 유대인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처신해야 할 행동 규범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둘째, 탈무드의 미쉬나는 이사야 33장 6절에 근거하고 있으며, 여섯 책인 즈라임(씨앗), 모에드(절기), 나쉼(여성), 네지킨(피해), 코다쉼(거룩), 토호롯트(정결) 등을 상징하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의 기독교 교육의 통전적 교육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탈무드는 이스라엘이 B.C.E. 586년에 예루살렘 성전은 파괴되고, 종교적 행위가 금지되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도 율법(토라)교육을 통해서 이스라엘 민족의 순수성을 유지했다고 본다. 넷째, 탈무드의 절기를 통해서 유대인들은 절기를 지킴으로써 통전적인 상징 교육으로 생활 속에서 상징의 의미를 깨닫게 하여 자녀들을 신앙으로 양육하였다. 다섯째, 탈무드를 통해서 이처럼 유대인들은 생활과 일치된 교육을 하였다. 교육형식은 그 목적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지적인 방법, 정서적인 방법, 의지를 촉구하는 방법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그들의 신앙은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지·정·의의 균형을 이루는 통전적 교육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이스라엘 민족이 처했던 절박한 상황 속에서 민족의 생존을 지켜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회당이라는 기관을 통해서 탈무드를 교육하였으며, 이것을 통해서 그들의 민족 공동체성을 지켜내려 했던 것이다. 일곱째, 탈무드의 교육은 미쉬나 본문을 텍스트로 해서, 미쉬나 본문을 랍비들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설명하고, 어떻게 교육시키고,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텍스트를 기초로 해서, 다른 주제로 끊임없이 확장, 재확장을 거듭하면서 그 폭과 깊이를 더해 나가는 교육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독교교육은 유대교에 대해 적대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유대교와 더불어 새 하늘과 새 땅을 실현시키는 역사에 동참해야 하며, 더불어서 유대교를 유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 바라봄으로서 하나님나라의 진정한 평화를 이루어 나가는 데 초석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study lies in the analysis of contents of whole education through the scripture of study as follows:First, the Talmud is symbolized by six volumes, Zrim(seed), Moed(feast), Nashim(woman), Nezikim(damage), Kodashim(holy) and Toholot(clearness). Second, the Talmud is considered to have maintained the purity of Jewish n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law(torah), although Israel was in the break reality that Jerusalem temple was destructed and religious activities was prohibited. Third, the Jews raised in faith their children by means of the whole symbol education as observing their feasts through the holidays of the Talmud. Fourth, Jewish people conducted th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life through the Talmud and the form of education was comprised by various was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eir education. Fifth, the Jewish people educated the Talmud through the institution called synagogue, and by this institution, tried to keep their community of nation, despite difficult circumstances in accomplishing their survival from desperate conditions of their nation. Therefore, in the future the christian education must deviate from hostile education against Judaism, and with Judaism, join together the history of accomplishing new heaven and new earth. In addition, when it understand, interpret and look at Judaism in the view of Jews, the christian education should perceive the fact that it can become the foundation of comprising the true peace of the Kingdom of God.

Ⅰ. 들어가는 말

Ⅱ. 통전적 기독교교육의 개념

Ⅲ. 유대교 탈무드의 본질

Ⅳ. 유대교 탈무드의 통전적 교육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