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38.jpg
KCI등재 학술저널

감리교회의 고령화에 대한 인식도와 성경적 효에 대한 교육적 고찰

Das Bewusstsein der Alterung und die Betrachtung für das Biblische Hyo in der Methodistischen Kirche

  • 2

현재 고령화 단계에 있는 한국사회의 구조 속에서 노인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들의 문제는 주로 육체적 상실, 역할상실, 경제적 빈곤, 사회적·심리적 고립과 소외 등을 통해 발생된다. 그 문제들 중에서도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가족구조와 가족성원간의 관계변화에서 오는 노인문제이다. 왜냐하면 현대사회는 핵가족구조, 개인주의적·이기주의적 구조로 인해 세대 간의 갈등이 점층되고 있는데 특히 노인과 다른 세대 사이의 갈등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노인 세대와 다른 세대와의 관계를 재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교회는 현재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가? 교회의 고령화는 어느 정도인가? 교회 내 세대 간의 갈등은 존재하지 않는가? 이를 위해 먼저 감리교회를 중심으로 한 설문을 통한 노인에 대한 인식도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목회자들이 이미 고령화된 교회들에 대한 문제의식 및 교회 내 세대 간의 갈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필요성조차 못 느끼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교회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에 대한 인식과 함께 세대 간의 갈등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성경적 효 사상에 근거한 교육을 제시한다. 그리고 성경적 효에 근거한 교회교육으로 부모와 자녀간의 교육, 세대 간의 교육, 목회자에 대한 교육을 고찰해 보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 연구 주제가 비교적 초기 상태에 있는 고로 각론으로 들어가기보다는 성경적 효의 성격을 개략적으로 밝히고 이에 따른 교회교육의 방향을 찾아보는데 무게를 두었다.

Die Probleme der alten Menschen werden in der derzeitigen Struktur der alternden Gesellschaft in Korea erscheint. Die Probleme dieser Menschen treten hauptsächlich durch physischen Verlust, Verlust der Rolle, wirtschaftliche Not, psychologische und soziale Isolation und Entfremdung. Aber man muss besonders in diesen beachten, dass die Veränderung der familiären Strukturen und die Veränderung der Beziehungen zwischen den Familienmitglieder die Ursache vom Problem des alten Menschen sind, weil die moderene Gesellschaft durch die Kernfamilie Sturuktur, Individualismus, Egoismus die Konflikten zwischen den Generationen verursacht. Jetzt müssen die Beziehung zwischen der alten Generation und die Andere wieder gestalt werden. Welche Situation liegt nun die Kirche? Wie vieles Ausmass der Alterung der Kirche ist? Gibt es Konflikt zwischen den Generationen? Zu diesem Zweck befrage ich den erst methodistischen Kirche nach die Alterung eigener Kirche. Infolgedessen haben Pastoren und Mitarbeiter überhaupt keinen konkreten Bildungsplan und fühlen sich das Bedürfnis nicht einmal, obwohl sie haben schon ein Bewusstsein des Problems über die Alterung der Kirche und Konflikt zwischen Generationen. Daher schläge ich in diesem Aufsatz die Anerkennung von der Bildung des biblischen Hyo für alten Menschen aufgrund der Alterung der Kirche und Konflikt zwischen Generationen vor. Und ich betrachte die Kirchenbildung, die in dem biblischen Hyo basiert, als die Bildung für Eltern und Kinder, als die Bildung für Generationen und als Bildung für Pastoren. Aber die Forschungsthemen in diesem Aufsatz sind allerdings die relative frühen Stadien. So soll ich die Bedeutungen des biblischen Hyo übersichtlich darstellen und entsprechend die Richtung der Kirchenbildung finden.

Ⅰ. 서론

Ⅱ. 성경적 효의 개념

Ⅲ. 한국 감리교회 내 신학생·신대학원생 및 목회자를 대상으로 한 고령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

Ⅳ. 성경적 효에 입각한 교회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