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and Mongolian education sector: Comparis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 몽골지역연구
- 제6권 제2호
-
2021.0777 - 95 (19 pages)
- 73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이후 교육현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몽골과 한국의 교육시스템을 비교하였다. 교육은 우리 사회의 중요 자원이므로, e-러닝으로의 전환은 기술 발전의 도움과 교육부문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대유행 당시 한국 교육 분야의 모범 사례와 몽골에서의 시행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각 국가의 다양한 예방 활동으로 인한 국가의 조치는 학습 결과 및 효과 측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현재 원격 채널을 통해 교육을 제공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학생, 원격 교육 콘텐츠, 커리큘럼, 교사, 부모 및 가족, 공공 기관이다. 이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COVID-19의 교육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서 분석 및 2 차 정보 출처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다. 보조 데이터 소스에는 이전 연구 작업, 정부, 국제기구, 공공 기관에서 수행 한 보고서 등도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원격 교육으로 전환 할 때 국가에서 가장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해야하는 문제에 직면하는 점이다. 또한 다양한 전자 자원 및 특수 플랫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았으며 문제 조치에 제한적이었다. 한국 외, 몽골국가에서는 교사에게 인터랙티브 전자 콘텐츠를 개발하고 온라인으로 수업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라 가용성과 도구에 대한 친숙도는 원격 학습의 성공 (및 과제)을 결정하는 요인이었다. 한국이 원격 학습에 성공한 반면, 인터넷, 셀룰러 및 텔레비전 보급이 제한된 몽골국가는 모든 학생에게 동등하게 교육효과의 도달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시작되는 국가의 연습을 다룹니다.
1. INTRОDUCTIОN
2. IMPACT OF COVID-19 ON EDUCATION SECTOR
3. LESSONS AND PRACTICE OF EDUCATION SECTOR MEASURES
4. CОNCLUSIОN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