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타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적 피로감이 간편결제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간편결제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이 기술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시스템 특성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바이러스 회피와 생존을 위한 소비로 인해 신체적·심리적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소비자들의 심리 및 정서를 중심으로 살펴봤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조사는 2020년11월 26일∼12월13일까지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두 대학교의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구글 설문 기능을 통해 작성된 문항의 URL를 제공하고 설문지를 작성하게 했고 총 302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촉에서 커뮤니케이션 시간과 공간적 근접성은신체적·심리적 피로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의 풍부성은 신체적·심리적피로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심리적 피로감은 간편결제서비스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여 간편결제서비스 도입 및 확장에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nted to examine wheth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caused by contact with others affects the intention of accepting simple payment services. It is meaningful that if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simple payment services focused on system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technology, this study focused on the psychology and emotions of consumers who a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ired from virus avoidance and consumption for survival.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6 to December 13, 2020 on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Gyeongbuk. It provided the URL of the questions written through the Google survey function and had them fill out the questionnaire, and used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ime and spatial proximity in customer contact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Second, the abundance of information has not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Thir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ceptance of simple payment servi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simple payment servic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