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학교의 미래과제

Future Tasks of Christian Schools on the basis of Christian World View

  • 72
159147.jpg

한국 사회와 교육의 병리현상에 대한 깊은 실망에서 1990년대 후반 이후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참교육을 열망하는 새로운 유형의 기독교학교가 설립되어 기독교대안학교의 한 모델이 되었다. 지난 20여 년 동안 교사선교단체, 기독교세계관 운동,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기독교인 교육학자들과 기독교교육학자이 기독교학교의 확립에 기여한 바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학교는 여전히 대안적 실험학교 수준이며, 특히 재정에서 영세성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학교들이 대부분이다. 기독교학교의 미래과제를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학교교육을 위한 자유와 기독교학교교육의 합법성의 온전한 획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독교학교를 위한 교육사회학적(정치학적) 연구, 기독교교육기관 연합운동, 범 기독교계의 지원활동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야 한다. 둘째, 기독교학교의 확립을 위해 기독교공동체의 각성과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고, 기존의 기독교사립학교와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기독교학교교육의 정체성과 수월성을 도모하기 위해, 그리고 기독교학교교사들을 교육하고 기독교학교교육의 실천을 연구하는 교육대학원대학교의 설립이 필요하다.

In the background of critical responses on the pathological phenomena in the spheres of Korean society and schooling, many Christian schools, a new model of alternative school, seeking for both a good, humane schooling for students and a faithful schooling to the Christian world view, have been brought forth since the 1990s. Teacher’s mission groups, Christian world view movement, Christian School Education Research Center, Christian teachers and educationists have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Christian schools for the past twenty years. However, many Christian schools are in experimental level enduring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poor educational facilities. The important future tasks of Christian schools are as follows: (1) the complete acquisition of freedom and the legitimacy for Christian schooling are prerequisite. Sociological and political studies on Christian schools, cooperative movement of Christian schools associations, positive support of Christian churches, and organic cooperation between mission schools and Christian schools can be effective ways to get the legal position an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2) A teachers’graduate school for Christian schools has to be established for identity settlement and educational excellency of Christian schooling by means of both re-education of teachers and research on Christian schooling.

Ⅰ. 들어가면서

Ⅱ. 기독교세계관 교육운동

Ⅲ.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학교운동

Ⅳ.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학교교육연구

Ⅴ.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학교의 미래 과제

Ⅵ. 나가면서

※ 참고문헌

※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