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교회학교 학생수 감소의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다. 1970년대 이후부터 출산율 저하로 인해서 아동 인구수가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수의 감소와 교회학교 학생수 감소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저출산, 고령화 현상에 대해서 교회교육이 어떤 응전을 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회교육은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대해서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대응하여야 하는데, 하나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걸맞는 교회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저출산, 고령화 현상 자체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다.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교회교육은 학교식 구조를 탈피하여 관계구조가 되어야 하며, 공동체가 형성되어 자라나는 세대가 직접 참여하는 교육, 세대 간에 소통하는 간세대 교육, 교회와 가정이 연계되는 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교회교육의 방안으로는 먼저 생명존중, 가족사랑, 신앙계승, 남녀평등,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교육목표의 설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발달단계별, 교육목회 영역별로 적용하는 방안이 요청되며, 교회가 자녀양육공동체로서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체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I. 들어가는 말
II. 한국교회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
III. 저출산, 고령화 현상 속에서의 교회교육 모색
IV. 저출산, 고령화 현상 극복을 위한 교회교육 방안
V.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