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53.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독교학교에서의 도덕교육

Moral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기독교학교는 기독교 신앙을 형성하고 이를 성숙시키는 종교적 교육만이 아니라 기독교적 인성을 함양하는 도덕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요청받고 있다. 한국의 초기 기독교학교는 기독교 신앙에 기초하여 도덕적 품성을 함양하여 교회와 민족을 이끌어갈 지도자를 양성하였다. 그래서 기독교학교는 기독교적 건학이념에 따라 기독교 신앙을 교육하고 이에 근거한 도덕 함양을 통해 국가와 민족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학교는 여러 가지 면에서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가로막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으로는 입시위주의 교육현실과 평준화 정책으로 인한 기독교학교의 자율성 및 정체성 상실을 들 수 있다. 기독교학교도 입시위주의 교육 풍토를 거스르지 못한 채 경쟁위주의 교육으로 인하여 전인교육에 실패하고 있으며, 평준화 정책으로 말미암아 준공립학교로 전락하여 획일적인 교육과정으로 인해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종교교육과정마저 ‘종교학 교육과정’으로 변질됨으로 인하여 신앙적 인성교육의 통로가 되고 있지 못하며, 도덕교과는 그동안 ‘국민윤리’과목으로서 정치적 이데올로기 교육의 수단이 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기독교학교가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과제와 단기적 과제가 있다. 장기적 과제로는 기독교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고, 단기적 과제로는 예배, 종교교과, 도덕교과, 교과 외 교육, 공동체를 통해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회복하는 것이다.

A Christian school is a school that pursues not only the formation of Christian faith but a Christian moral education as well. The two most fundamental factors that limit the extent of Christian moral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are education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 loss of Christian schools’ autonomy through the 1974 standardization policy. Due to the trend of competitive educa-tion, Christian schools have failed to achieve whole-person educa-tion; the uniform education curriculum put forth by standardization policy has failed to practice moral education. Even the 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does not function as a channel for Christian moral education, since it has been distorted to become a curriculum for a ‘Science of Religion,’ and the Moral Education subject has been a channel for educating political ideology. In order for the Christian school to practice Christian moral education, there are two kinds of tasks, long-term and short-term. The long-term task is to recover the autonomy of the Christian school, and short-term tasks include recov-ering Christian moral education through chapel service, the Religion subject, the Moral Education subjec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school community.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학교의 도덕교육: 기독교적 도덕교육

III. 기독교학교의 ‘기독교적 도덕교육’을 가로막는 근본 요인

IV. 기독교학교의 종교교육과정과 도덕교육과정 진단

V. 한국 기독교학교의 교과 외 기독교적 도덕교육 사례

VII.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