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현재 윤리의식이나 공평한 사고방식에 대한 결핍과 함께 부조리와 부정부패, 반인륜적 행위가 증가되고 있는 현상을 마주하고 있다. 그 원인의 하나로 교육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인성의 부재가 거론되었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인성교육이 중요하다는 분위기를 조성하게 되었다. 더욱이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의 시행은 인성교육이 교육의 핵심적 활동임을 강조하여 인성교육의 범위와 정도를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 및 사회로 확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여전히 입시중심의 장(field)으로 전락하고 있다. 인문학은 붕괴되고 있으며, 윤리적 ․ 정서적인 함양은 뒷전이 되고 있다.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학교로 하여금 인성교육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독교 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그렇다면 기독교 학교가 지향해야 할 인성교육은 무엇인가? 본 논문은 기독교 인성과 기독교 인성교육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독교 인성교육이 일반적 인성교육을 포함한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기독교 인성의 덕목으로는 김국환(2011), 정희영 외(2013), 장화선(2014), 강용원(2015) 등이 제시한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를 살펴보았으며, 기독교 인성교육을 염두로 한 종교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하였다.
Today Korean society faces crisis that originate from lack of character. Violent crimes are rampant whereas moral conducts are rare. Education systems that are geared toward career building are often blamed for the social illnesses. With the im-plementation of Law for the Stimulation of Character-Building in Education, demand for an education that cultivates character has been increas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ing for de-sirable ways of Christian schools within a Korean schoo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vance some suggestions for Christian school to make changes to their education.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fruit of the Spirit which represent Christian virtue. For it is used theory of Guk Hwan Kim(2011), Hee Young Jeung etc(2013), Hwae Sun Jeong(2014), Young One Kang (2015) etc. And this was compared with gener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is, insisted that th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general character education. Secondly, it explores the roles of religious teachers in charactering-building. And this was emphasized that religious teach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인성 부재의 원인과 결과
Ⅲ. 일반적 인성교육과 기독교 인성교육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