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55.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진로 지도 방안

Career Guidance Strategy for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A Case on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DOI : 10.17968/jcek.2016..46.006
  • 45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졸업 후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이 중요한 시점에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방안에 대한 탐구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0월중 A대학교 기독교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와 관련된 항목에 대한 인식을 계량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진로의 의미와 진로 지도의 연구 동향을 다루고, 연구 방법에서는 연구대상자, 설문 문항, 연구 분석을 다룬다. 분석 결과에서는 진로 관련 중요도와 실제 도움의 정도, 진로 관련 중요도에 대한 학년별 인식 정도, 진로 관련 중요도와 실제 도움 정도의 성별 인식 정도를 서술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는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지도방안으로 기독교적 가치관의 형성, 기독교교육자로서의 자질 향상, 자격증 취득 정보, 취업 세미나 학과목 개설 유지, 학년별 지도 계획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진로 지도를 위해 구체적인 전략과 방향을 설정해 주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기독교교육과의 교육과정 운영 방안을 제공하고 있으며 후속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career guidance strategies for students of Christian educational departments through a statistical study on students‘ cognition of career questionnaire lists. This article consists of a theoretical background, study method, analysis re-sult, and discourse of study method. In theoretical back-grounds, the meaning of career and study trends for career guidance are described, and within the study metho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questionnaire lists, and study analysis are discussed. Withi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ortance of questionnaire lists with career and practical help, students‘ 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career related, sexual cognition on importance of career related and practical help are discussed. Discourse on the analysis of study i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these being: the formation of Christian value, the im provement of quality as a Christian leader, information on ob-taining qualification, Job Career Seminars in the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and plans for career guidance. In conclusion, this article will influence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and provide strategical ideas on career-guidance for students as well as following studies.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연구의 논의

VI. 맺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