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비판이론과 기독교교육

Critical Theory and Christian Education

  • 4
159157.jpg

비판이론은 사회현실과 문제를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올바른 비판의식을 갖춘 자율적인 인간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삼는다. 그러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학교교육은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정치·경제구조를 반영할 뿐 아니라, 계급편향성을 띄며 개인의 의식구조, 가치관, 태도 등을 속박하고 왜곡함으로써 오히려 사회의 불합리성을 재생산하고 증폭시켜왔다. 역사적으로종교교육 역시 불평등하고 불합리한 지배체제를 정당화하고 영속화시키는데 이용된 바 있다. 또한 무비판적으로 수행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은 그 가운데 내재된 물질주의나 패권주의를 부지불식간에 전수함으로써 성경적 관점과 상반되는 가치들을 재생산하고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독교교육은 학습자들이 사회적 모순을 인식하고 불합리한 사회적 요인을 분석·통찰할 수 있는 반성적인 존재, 제도화된 모순구조를 개혁할 수 있다는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은 학습자를 피주입자 혹은 방관자로 취급하는 맹목적적인 주입식교육을 탈피하여 비판적 성찰능력과 주체적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데힘써야 한다. 또한 교육활동을 단순히 기존의 지식과 교리를 축적하는저금행위로 취급하거나 물상화하는 사고를 극복하고,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 곧 부정의와 불평등에 의해 상처받은 인간들이 구조적· 정신적 억압으로부터 해방되고 치유되는 장, 인간존엄성이 회복되는장, 자유롭고 정의로운 사회 창출을 모색하는 장이 되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은 궁극적으로 이 땅 가운데 하나님의나라, 하나님의 통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A recent heir of critical theory, Jürgen Habermas criticizes positivism and the reductivist tendencies of scientific methods by unmasking the objectivist illusion of “pure” disinterested knowledge. He argues that knowledge cannot be free from the natural interests of life and their irritating influence. According to Antonio Gramsci, a sociologist, hegemony is a whole body of practices and expectations which forms the limits of common sense, habits, and assumptions fundamentally rooted in a societ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the main agencies perpetuating the hegemony by transmitting cultural capital and intellectual property. Under the rubric of culturalism, Christian education has often served to legitimize and further the dominant culture by th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selective tradition and selective history. Moreover, hidden curriculums in Christian education have often supported unbiblical values such as materialism, individualism, or imperialism, further exacerbating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already victimized people in society rather than indemnifying them. With the insight of critical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Christian educators should critically examine the formal and hidden curriculum in order to prevent Christian education from reproducing the dominant culture and value which are opposite to those of Christianity. Additionall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include a dimension of critical reflection and the subjective formation of meaning as well as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indoctrination. When curriculum developers, teachers, and students cooperate to critically analyz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assumptions, they can offset the unjust and oppressive features in Christian education.

I. Introduction

II. Critical Theory

III. Christian Education from Critical Theory’s Perspective

IV. Toward Critical Christian Education

V. Conclusion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