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57.jpg
KCI등재 학술저널

‘혐오’ 현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henomenon of Disgust from the View of Christian Education

DOI : 10.17968/jcek.2016..48.010
  • 41

최근 수많은 ‘녀’ 호칭들, 장애인, 성소수자, 이슬라모포비아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각종 혐오 증세가 우리 사회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혐오를 중심적 사고로 취하는 반생명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혐오현상은 사회적 약자를 향한 억압과 지배의 일종이다.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은 모두 본질적 존엄성을 가지며 이 명제는 또한 각 사람이 타인의 권리를 유지해 줄 의무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근거 없이 타인과 특정 집단을 미워하고 싫어하는 혐오현상은 타자를 부인함으로써 결국 자신의 인간성을 상실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나아가 공동체성을 상실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웃을 품는 사랑과 포용의 삶을 살아야 하는 그리스도인은 결코 타자를 향해 억압하고 지배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복음의 정신에 기초한 성숙한 그리스도인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혐오현상을 다루어야하는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첫째, 신학과 종교적 관점에서 혐오현상을 성찰하고, 둘째, 기독교교육에 주는 도전을 살펴봄으로써 혐오 사회 대처를 위한 교육적 방향과 제안을 제시한다.

Nowadays, the phenomenon of disgust toward the socially powerless - many titles with ‘nyo’(woman), Islam phobia, sexual minority, and so on – is pervasive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incidents of anti-life and violent acts with disgust at their core are increasing. The phenom-enon of disgust in various forms is a kind of both oppression and do-minion toward the socially powerless. A human being created in God’s image has an inborn human dignity, which implies one’s responsibility to uphold another person’s right. The phenomenon of disgust, however, which hates and abhors oth-ers without any scientific or logical reason, result in the loss of one’s own humanity by denying otherness. Furthermore, it can also be-come the cause of losing a sense of community. A Christian, who be-comes free because of the Gospel and has to live a life of love and in-clusiveness, should not oppress or dominate oth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disgust from the view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aims to transform people into mature Christians whose spirits are grounded on the Gospel. Within this con-text,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phenomenon of disgust critically from a theological and religious perspective. Second, by exploring the challenges for Christian education, the author suggests the educa-tional vision and practices as a way of preparation to respond to soci-ety of disgust.

Ⅰ. 들어가는 말

Ⅱ. 혐오에 관한 이해

Ⅲ. 혐오와 기독교교육의 과제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