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64.jpg
KCI등재 학술저널

관계적 역량 강화를 위한 평화감수성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peace sensitivity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relational capacity

본 연구는 관계성이 와해된 한국사회에서 기독교 교육이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으로 관계적 역량 강화를 위한 평화감수성 교육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목적을 둔다. 최근 한국사회에 확대되고 있는 나 홀로 문화는 많은 사람들이 혼자의 삶을 즐기는 것 같지만, 관계성의 부재로 인한 고독감에 신음하는 모습을 알게 한다. 무엇보다도 관계성의 부재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들을 불러일으킨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문제되고 있는 우울증, 자살, 고독사, 일중독, 악성댓글, 혐오범죄 등은 모두 관계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고독감과 연결되어 있는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사회 내 관계성의 부재는 타인의 입장을 공감하지 못하고, 타인과의 상호관계성을 인식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자기중심적 사고와 폭력적인 행동양식을 야기한다. 이로 인하여 사회 내 공동체가 와해되고, 폭력적인 사회 구조를 양상하게 되며, 계속해서 폭력의 문화를 답습하게 되는 구조가 형성 된다. 그러므로 기독교 교육은 관계의 위기 앞에서 선 한국사회의 문제를 인지하고, 관계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학적 노력을 도모해야 할 과제를 가진다. 본 논문은 관계적 역량의 핵심이 타인과의 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폭력적인 태도와 관점들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민감성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를 평화감수성이란 용어로 정의하며, 평화감수성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면서 평화감수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예술적 접근, 놀이적 접근, 대화적 접근이라는 다양한 관점에서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ace sensitivity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related competence and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Recently in Korean society, culture of myself is expanding and the absence of relationships is spreading to social problems. These tendency is attributable to depression, suicide, death of solitude, work addiction, malicious comments and hate crime. More and more many people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or sympathize with other people’s mind and act on self-centered thinking. As a result, the community has broken and violent social structure and continuously repeat the culture of viole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hristian Education should promote educational efforts for related competence to establish healthy and peaceful community. These study focuses on the sensitivity of the related ability to recognize the violent element, defines it as the term “Peace Sensitivity”, and suggests the concret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development of the peace sensitivity. Especiall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cludes aesthetic method, play method, dialogical method. Through these processes, students experience directly the culture of peace and can be trained for the peace sensitivity.

I. “나 홀로 산다”: 관계의 위기 앞에 선 고독사회

II. 관계적 역량의 기저로서의 평화감수성

III. 평화감수성 교육의 형성 배경

IV. 관계적 역량 강화를 위한 평화감수성 교육의 방향 제언

V. 나가는 말: 함께 울고 함께 아파하는 사회를 향하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