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73.jpg
KCI등재 학술저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교육

Church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DOI : 10.17968/jcek.2020..63.001
  • 27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전파력과 치사율에 주목한 WHO는 글로벌 비상사태를 선언했으나, 효과적인 치료제를 확보하지 못한 채 상황이 악화되자 팬데믹으로 상향 조정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자기격리 및 여행 제한에 따른 경제위기 때문에 자유무역 중심 세계 경제체제 붕괴와 세계화의 퇴조가 거론되고 있다. 팬데믹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정치리더십이 도전받고, 사회는 비접촉과 부동성 문화로 급속히 전환 중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탈학교화라는 개념이 디지털 매체를 통해 물리적 공간에서 현실화하고 있다. 교회교육 역시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교회들은 팬데믹에 관한 신앙 및 신학적 성찰, 온라인 예배와 체계적인 신앙교육, 그리고 비대면 중심의 목회까지 포괄하는 이른바 뉴노멀을 기대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교육은 급변하는 주변 상황에 부응해서 적극적으로 대안을 모색하면서 의미 있는 기독교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교육신학을 새롭게 재구성해야 한다. 아울러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결합한 모바일(또는 온라인) 교회학교를 운영하는 한편, 비대면과 면대면 학습을 혼용하는 학습방식(Blended Learning)을 도입하고, 교회학교와 홈스쿨링을 결합해서 교회와 가정이 교육의 책임을 분담할 필요가 있다.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WHO), paying attention to the spread and fatality of the coronavirus(COVID-19), which first occurred in Wuhan, China, declared a global emergency. Although many countries implement strict measures to slow down the spread, WHO officially declared a pandemic. COVID-19 has sparked fears of an impending economic crisis and recession. Due to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social distancing, self-isolation and travel restrictions, the collapse of the world economic system centered on free trade and the decline of globalization are mentioned. Political leadership that has not responded properly to the pandemic is challenged, and nearly all of society is rapidly changing to a non-contact and immobile culture. COVID-19 has seriously affected all levels of the education system, from preschool to tertiary education. The so-called old concept of deschooling is realiz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digital media paradoxically. Church education is facing a serious crisis as well. Churches are seeking now a new normal that includes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andemic, online worship, education, and non-face-to-face ministry to overcome the worst unexpected crisis. In the post-corona era, church education must actively seek alternatives in response to rapidly changing surrounding conditions and reconstruct educational philosophy(theology) that focuses on Christian valu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art operating a mobile(or online) church school that combines offline and onlin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Blended Learning’ method that combines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learning, and by combining church school and homeschooling, churches and families need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faith.

Ⅰ. 들어가는 말

Ⅱ. COVID-19 팬데믹과 사회 변화

Ⅲ. COVID-19 팬데믹과 교회교육

Ⅳ.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교육의 방향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