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74.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습상황진단도구 개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DOI : 10.17968/jcek.2020..64.013
  • 14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학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학업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평가 영역을 구성하고, 그 도출된 영역들의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도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문항을 구성하고, 델파이 연구를 통해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K대학의 신입생 182명의 응답값을 분석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신뢰도는 평가 영역별로 신뢰도 .869~.955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문항-총점간 상관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30~.80사이로 적절하였고, .80이 넘는 문항은 다중공선성값 10 이하로 적절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요인과 문항간의 관계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를 실시 및 검증하여 최종도구 개발 및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pose a tool for accurately diagnosi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tivities in Christian University. The first, the evaluation area is composed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life of students. Then, by developing a tool to diagnose the status in that area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providing appropriate help for students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This tool composed items through prior research and developed a draft of tool through Delphi research. The draft tool was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by analyzing the response values ​​of 182 freshmen at K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showed high reliability of .869~.955 for each diagnosis area. I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EFA and CFA, a final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and suggested.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