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경력 4년 이상 기독유아교사 10인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탐구하였다. 2018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 동안 개별면담(20회)과 집단면담(2회)의 총 22회 면담을 통해 전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를 범주화, 핵심 범주 도출, 자료 해석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송부하여 확인(member check)을 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검증받았다. 그 결과,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교회교육을 누리과정에 적용’, ‘누리과정을 교회교육에 적용’, ‘교회교육과 누리과정 통합을 위한 학습자 이해’로 분석했다.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탐구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바람직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방안 모색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difficul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cas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10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April 4 to June 24, 2018, data were collected by transcribing through a total of 22 interviews: individual interviews (20 times) and group interviews (2 times). In order to categorize the interview data, derive the core categories, and increase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data interpretation, it was sent to the study participants for member check and verified by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the perception and difficul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Christian curriculum were analyzed as Applying Church Education to Nuri Course , Applying Nuri Course to Church Education , and Learners Understanding for Integration of Church Education and Nuri Course did. It is hop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will be helped through the recognition and difficulty of th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finding a desirable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