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74.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기독시민역량교육 프레임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Frame Model of Christian Citizenship Competency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Competency

DOI : 10.17968/jcek.2020..64.009
  • 25

포스트모던시대의 파편화된 시대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많은 난제들을 해결하지 못한 채 우리 사회는 더 급격한 사회적 재난인 코로나19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더 위기의 시간을 지나고 있다. 이처럼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가 장기화 되면서 우리 사회는 코로나 이전 보다 더 다양한 갈등사회로 심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사회적 갈등을 극복할 새로운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 각 분야에서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같은 팬데믹의 위기와 변화 속에서 이 시대가 갖는 사회적이고 상황적인 문제들에 대해 공공의 과제로 인식하고 기독교인의 공적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기독교시민교육의 소통역량이 보다 실천적으로 모색되고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기독시민으로서의 소통역량을 함양하고 강화하기 위한 교육으로 기독시민으로서의 공적정체성 재확립과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변혁적인 소통역량에 대한 기독시민역량교육 모형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교육적 틀을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시대적 과제에 대한 기독교인의 공적인 인식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공적신학의 자리에서 연구되었던 신학적 이론과 기독교교육 이론들을 통하여 기독시민역량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입문교육으로 제자-시민의 공적 정체성 재확립을 위한 교육을 다측면적인 교육영역별 로 설계하고, 공적 신앙의 실천적 역량으로 기독시민의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방법을 탐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 제자로 살아가며 기독시민으로의 공적 사명의 자리를 인식하는 정체성 재확립의 입문 선행교육의 틀과 시대적 공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변혁적인 기독시민의 변혁역량으로서의 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역량교육의 틀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기독시민으로서의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프레임 모형을 제안하게 되었다.

Without overcoming the fragmented characteristics of the postmodern era and solving many difficulties as it is, our society is passing through a time of crisis more than ever because of Corona 19, a more rapid social disaster. As such, the huge crisis of the pendemic is sweeping to the midst of high waves into a strange new normal society where new rules that have not previously experienced our society with the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ear as new common sense. This study started with an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Christian civic education to fulfill the public responsibilities of Christians by recognizing the social and situational problems of this era as a public task amid in the crisis and change of the pendemic. Therefore, a meaningful work was undertaken to find an educational ministry practice frame for essential core competencies and transformative transformation competencie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times as education to cultivate and reinforce competencies as Christian citizens. First, the theoretical basis for competency education for Christian citizens was reviewed through the theological and Christian education theories that were studied in the situation of public theology about the public percep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on the issues of the times.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education to establish and cultivate the public identity of disciples-citizens as a core competency is explored in a multifaceted method of educational ministry, and educational methods were searched for cultivating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Christian citizens with practical capacity of public faith.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n educational ministry frame of identity cultivation, the core competency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public mission as a Christian citizen while living as a disciple of God s kingdom in the world and an educational frame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as a transformative Christian citizen s transformative competency to carry out public tasks w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an educational ministry convergence frame was proposed for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and transformation competencies for Christian citizenship education.

Ⅰ. 들어가는 말

Ⅱ.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시민교육의 시대적 필요

Ⅲ. 기독시민교육을 위한 신학적 토대

Ⅳ. 기독시민 역량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토대

Ⅴ.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기독시민역량교육 프레임 작업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