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174.jpg
KCI등재 학술저널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Presence in Synchronous Distance Course : Focused on the Cases of Christian Education Classes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기독교교육 전공 수업을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실행한 후, 학생들이 인식한 사회적 실재감의 정도와 여기에 영향을 끼친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수업의 설계, 운영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화상 수업과 사회적 실재감과 관련 있는 연구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정리하고, 사회적 실재감을 측정하고 영향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기독교교육 전공 수업 3강좌의 수강생 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6명의 학생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적 유대감이 가장 낮았고,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공동체감이 보통 수준이었으며, 상호지원 및 집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조별 활동, 자기소개 활동, 적극적인 수업참여, 교수자의 강의 중 질의응답이나 동료학습자의 의견에 대한 반응, 질문, 피드백 등과 같은 상호소통, 적은 수강생 수가 도출되었다. 사회적 실재감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는 사적 대화 부족, 저조한 수업참여, 상호소통 부족, 주의 집중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 요인들의 원인은 줌(zoom)에서 발생한 기술적인 문제와 한계, 불편함과 산만한 주변 환경, 시간 부족, 심리적 어색함 등 이었다.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향상 방안으로 친교 활동, 효과적인 실시간 화상 수업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원활한 의사소통 방법 지도, 교수자의 학습 촉진 역할 강화, 조별 활동 및 학습자 중심 활동 강화, 적은 수강생 규모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social presence perceived b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affected it after practicing Christian Education classes as synchronous distance course due to Covid-19. It is also to suggest effective ways in the aspects of the design and operation to improve social presence. In order to measure social presence and derive influencing factors, research related to synchronous distance class and social presence is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s also surveyed 58 students in three courses of Christian education major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stud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was moderate, the emotional bond was the lowest by sub-factor, the open communication, the sense of community was moderate, and the mutual support and concentration were the highest. Second, factors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nse of social reality were group activities, self-introduction activitie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mutual communication such as Q & A or response to peer learners opinions during lectures by professors, questions, feedback, etc, and having a smaller number of students. Factors tha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presence were lack of private conversations, poor participation in classes, lack of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difficulty concentrating. The causes of these negative factors were technical problems and limitations arising from zoom, inconvenience and distracting surroundings, lack of time, and psychological awkwardness.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orientation to effective synchronous distance course, guidance on smooth communication methods, strengthening the role of professors to promote learning, strengthening group activities and learner-centered activities, and proposing a smaller scale of students were ways that are offered to improve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in synchronous distance courses.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사회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