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宗密의 一心觀 성립과 전개를 통해서, 그의 교학체계의 특성을 살피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종밀의 교학체계는 법장과 징관을 계승한 것이지만, 화엄 · 선 · 여래장 등의 여러 교학과 사상을 융합하고 변형하면서 자신만의 독자성을 드러내고 있다. 종밀 교학의 핵심이 되는 일심관은 『大乘起信論』의 ‘一心’을 본원으로 세간과 출세간의 법을 포섭한다. 일심은 종밀의 저술에서 一眞法界 등으로 해석되는데, 법계와 일심이 서로 개체화되지 않도록 일심으로 진여와 법계를 회통하는 동시에 일심을 일체만법의 근원인 本源淸淨心으로 상정한다. 일심관은 『大乘起信論疏』와 『圓覺經大疏』의 찬술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두 저술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두 주석서의 玄談을 통해 형식적 동질성을 비교하면, 『大乘起信論』과 『華嚴經』을 통섭적으로 이해하고 있음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종밀은 두 경론을 수용하여 화엄 법계관을 『大乘起信論』의 性起와 如來藏의 입장으로 변형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적 변용은 교학에 머물지 않고 수행론으로 발전되는데, ‘衆生心=圓覺’의 입장에서 ‘本覺眞心[圓覺妙心]’의 衆生本來成佛論을 제시한다. 중생과 부처의 성품은 모두 동일한 것이지만, 중생이 범부의 마음을 표방하기에 원각을 중생심으로 규정한다. 종밀이 중생심을 다시 일심으로 파악하는 바와 같이 중생본래성불론의 근본입장은 본래 닦아 익힘과 익힐 자도 없지만, 깨닫지 못함에 의지하는 범부의 관점에서 頓悟漸修의 수행론을 전개한다. 이처럼 종밀의 수행론은 교와 선, 이념과 수행이 합치되고 있어 종합적 교학체계가 실천적 수행론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the development of Zongmil(宗密)’s ‘One mind views(一心)’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yohagchegye(敎學體系). The mind dharma- dhātu of Zongmil accomodated Ch eng-kuan(澄關)’s ‘A single true Dharmarealm’. however, through Hwaeom gyowhak(華嚴敎學)’s ideological transfiguration, the indentity came into view. ‘One mind dharma-dhātu gwan’ of Zongmil is Dashengqixinlun (大乘起信論)’s ‘One mind’ being the source, ‘Dharma of Segan(世間) and Chulsegan(出世間)’ are included. The fundamental meaning of ‘One mind dharma-dhātu gwan’ is to unite ‘Gyo and Seon(敎禪)’, theory and meditation practice through the teaching system. Especially. ‘One mind dharma- dhātu gwan is related with the books of Dashengqixinlunso(大乘起信論疏) and Yuanjuejingta -shu(圓覺經大疏). If the deep contents of two Nonseo(論書) will be compared, Zongmil’s Dashengqixinlun and Avatamsaka Sutra(華嚴經) signals comprehension through consilience are found. Zongmil had inherited the position of the two scriptures Seonggi(性起) and Yeoraejang(如來藏), but in the position of ‘Jungsaengsim(衆生心)=Weongak(圓覺), suggested Bongagjinsim(本覺眞心)[wongagmyosim(圓覺妙心)]’s Jungsaengbonlaeseongbullon(衆生本來成佛論). Bonlaeseongbullon(本來成佛論) and Don-ojeomsu(頓悟漸修)’s formulations in Zongmil’s overall, Gyohagchegye(敎學體系) can be seen to conclude it through the practical Suhaenglon(修行論).
Ⅰ. 들어가는 말
Ⅱ. 一心觀과 교판적 성격
Ⅲ. 一心觀의 전개와 敎禪融合의 수행론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