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장년의 일자리 욕구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job desire
-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 지역복지정책
- 제32집
- 2021.08
- 58 - 71 (14 pages)
본 연구는 중장년의 일자리욕구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연구로 충남 15개시·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퇴직 후 일을 하는 이유는 건강유지 및 향상과 여가시간활용을 통한 노후 활동, 그간의 지식활용이다. 원하는 경제활동은 직장에서 근무, 경험이 없어도 일을 하겠다가 높게 나타나 중장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일자리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구인기업에서 선호하는 연령이 다르고 구직자가 선호하는 직종이나 진입가능한 직무가 구분되기 때문에 구직자에게 맞는 다양한 정보와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중장년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퇴직 후 중장년은 스스로의 노동능력인지에 대한 평가도 높게 났으나 취업에 대한 방해요인인 사회적 편견이 압도적으로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사회는 이러한 편견을 해결하기 위해 연령에 따른 인식개선과 세대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기초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신감은 일하는 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데 노화가 진행되다 보니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으로 하락함에 따라 자신감도 떨어지고 있다. 중장년의 진로신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우리사회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정부와 자치단체가 중장년에게 제2의 인생을 시작할 수 있도록 사회적관계망 구축, 서비스제공 등 사회참여를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desire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5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nam-do.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for working after retirement is to maintain and improve health, to engage in old-age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leisure time, and to utilize knowledge. They say that they will work even if they have no work experience or work experience. An approach to job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should be made. This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various information and programs because the age difference preferred by job seekers and the type of job that job seekers prefer and the job they are capable of are differentiated. In addition, while satisfying the needs of the middle-aged, it is possi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a stable life in old age. Second, the evaluation of self-employment ability was high, but social prejudice was overwhelmingly perceived. In order to solve prejudice, our society will have to come up with a basic solution through awareness improve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Third, as we age, our confidence decreases as we physically, socially, and emotionally decline.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beliefs of the middle-age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ntinu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networks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so that the middle-aged can start a second lif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Ⅵ. 요약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