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384.jpg
학술저널

만 5세 유아들이 인식하는 초등학교의 의미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as Perceived by Five-years old Young Children

DOI : 10.22690/edukid.2020.8.1.01
  • 296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들이 인식하는 초등학교의 의미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B 어린이집 유아 23명으로 2019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어린이집 자유 놀이 시간에 조용한 교실에서 연구자와 유아가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형제, 자매, 부모, 교사로부터 얻은 초등학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차이점을 이해하였으며, 초등학교의 외부 모습이나 초등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초등학교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선생님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긍정적인 이미지보다 우세하였으며, 유아들이 바라는 선생님의 모습은 착하고, 친절하며, 사랑해주는 교사로 표현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초등학교 입학 시 규칙의 준수, 스스로 해나가야 하는 것과 대인관계에 대한 부담감을 표현하였고, 동시에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질 새로운 배움과 만남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공부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표현과 초등학교 입학 전 ‘실컷 놀고 싶다’라는 면담 내용을 통해 유아들이 초등학교를 ‘공부하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초등학교 적응을 위해 학습적인 측면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교육의 주체자인 유아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임으로써 유아들의 고민은 무엇인지 어떠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in what 5-year-old young children think.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st to November 15th, 2019, with 23 young children at the Daegu-based B Daycare Center. During the free play time at the daycare center, researchers and young children collected data through one-on-one interviews by using drawing. According to the study, firstly, young children formed and understood the imag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information about elementary school from brothers, sisters, parents, and teach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nd were getting information about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exterior of elementary school or the appea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imag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vailed over the positive image, and the image of the teacher desired by the young children was expressed as a kind, warm-hearted and giving love. Third, young children expressed being under pressure following the rules, having to do it on their ow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en entering elementary school, but at the same time had positive expectations for new learning and meeting in elementary school. Fourth, the expression to prepare for studying in advance and the interview to play as much as possible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young children perceive elementary school as a place to study. This study will not only emphasize learning aspects for successful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but also listen to the stories of young children who 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so that we can think about what the concerns of young children are and what practical help we can provid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