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408.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생의 교육성취에 대한 잠재집단 결정요인 및 전이 양상 탐색

Exploring Latent Classes Determinants and Transition on Educational Achieve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b

DOI : 10.54346/sjer.2021.30.3.83
  • 176

본 연구는 중학생이 입학과 졸업 시점에서의 교육성취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 교육성취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중학교 1학년과 3학년, 총 6,348명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에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교육성취(평균), 인지성취(중저)-정의성취(중저), 인지성취(고)-효능감(최고), 인지성취(저)-효능감(최저) 집단 순이었다. 둘째, 중학교 3학년 시기 역시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교육성취(평균), 인지성취(중저)-정의성취(중저), 인지성취(고)-정의성취(최고), 인지성취(저)-내재적 동기(최저) 집단 순이었다. 셋째, 해당기간 동안 유사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은 60%-70%인 가운데, 한 단계 더 높은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최소 15.1%로 나타났다.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 및 전이 양상과 함께 각 시점의 잠재집단 분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between 1st and 3rd grade, and the determinants on the latent classes at the two period with KELS 2013 data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As results, both the 1st grade and the 3rd grade, the four latent classes were revealed. And the probability of the latent transition for the similar class between 1st and 3rd grade were 60-70%.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the next higher classes was at least 15.1%.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