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Scenario Method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 Vol.30, No.3
- : KCI등재
- 2021.09
- 29 - 57 (29 pages)
이 연구는 일반적인 대학생들의 학업 상황을 고려하여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를 새롭게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학업적 회복탄력성의 5가지 하위영역을 ‘자아효능감’, ‘상황판단력’, ‘자원 활용’, ‘활력성’, ‘미래지향성’으로 설정하고, 각 하위영역을 다시 3가지 하위요소들로 구성하였다.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의 초안은 각 하위영역에 대한 3개 시나리오와 각 시나리오 별 6개 문항, 총 90개 문항으로 개발하였으며,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1차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면평가를 통해 내용타당도 등을 검토하여 2차 수정·보완하였다. 2차로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활용해 서울 소재 S 대학 재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고, 탐색적 요인분석의 요인부하량과 내용타당도 점검 결과 등을 고려해 최종 측정도구(총 15개 시나리오, 45개 문항)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등을 점검한 결과,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for measuring academic resilience for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ing their learning situation using the scenario method. To this end,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nstructed sub-domains of academic resilience as ‘self-efficacy’, ‘situational judgment’, ‘resource utilization’, ‘vitalization’, and ‘future orientation’ and also constructed three sub-elements for each sub-domain.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cale was developed with 3 scenarios for each sub-domain and 6 items for each scenario(the total of 90 items), which were revised and improved based on bot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undergraduate students and a review of content validity by 9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Subsequently, a pilot test using a preliminary version of the scale was conducted on 133 students in S University in Seoul. Using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nsequently, the finalized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the total of 15 scenarios, 45 items) was good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