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를 위한 국가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Opin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buk-do Provinc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18호
-
2021.09331 - 349 (19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18.331
- 733

목적 이 연구는 현장교사 및 교육과정 전문가의 의견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를 위한 국가교육과정 개정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북지역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지닌 현행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고,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 방안에 관해 의견을 수집⋅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교육과정 편제, 시수, 성취기준, 창의적 체험활동 측면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이 현재보다 더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편제, 시수, 성취기준,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한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정책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expand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curriculum specialist.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buk-do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and expert opinions on ways to expand teacher autonomy in the curriculu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open survey. Resul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ought that teachers autonomy in the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in terms of curriculum structure, instructional time allotment, standard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related to curriculum organization, number of times, Standard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as proposed.
Ⅰ. 서론
Ⅱ.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정책 제안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