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을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퍼실리테이터가 비가시적 권력을 어떻게 대응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퍼실리테이터 11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접근 방법에 의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퍼실리테이터 성장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의 갈등 대응을 위해 퍼실리테이터로서 성찰이라는 인지적 과정, 감정적 공감이나 지지의 정서적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이 통합되어 자신-관계-퍼실리테이션으로 변화한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의 갈등 대응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이 참여자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상황에 따라 저항과 타협 그리고 수용을 반복하며 확인단계-대응단계-조정단계 과정으로 발전하는 순환구조로 나타난다. 셋째, 퍼실리테이터 비가시적 권력은 퍼실리테이터와 의뢰자, 그리고 퍼실리테이터와 참여자 간에 다르게 작용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참여자에게 활동통제와 동시에 참여자 존중의 형태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해방적 차원의 저항이 나타난다. 또 의뢰기관 간, 스태프 간에는 굳어진 갈등적 권력 관계에서 권력을 인식하면서 저항하거나 타협과 수용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는 퍼실리테이터의 불안정한 고용구조로 인해 의뢰기관이나 메인 퍼실리테이터가 일방적인 상황을 형성하고, 의뢰기관으로부터 메인 퍼실리테이터와 스태프에게로 권력이 전이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rowth process of the facilitator as a theoretical model and to explore how the facilitator responds to invisible power.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conducted with 11 facilitators.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facilitator growth, the cognitive process of reflection as a facilitator, the emotional process of emotional empathy or support, and social interaction are integrated to respond to the conflict of invisible power and change into self, relationship, and facilitation. Second, the conflict response process of the facilitator appears as a cyclical structure that develops into a confirmation stage, a response stage, and a mediation stage, repeating resistance, compromise, and acceptan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that invisible power is not transferred to the participants. Third, the invisible power of the facilitator acts differently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client, and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participant. As the facilitator exercised power in the form of respect for the participant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the activity, an emancipatory level of resistance appeared. In addition, while recognizing the power in the conflicting power relationship that has been fixed between the client agencies and the staff, they resisted or responded with compromise and acceptance. This creates a one-sided situation between the requesting organization or the main facilitator due to the unstabl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facilitator, and repeats a vicious cycle in which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requesting organization to the main facilitator and staff.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퍼실리테이터 성장 과정
Ⅴ. 비가시적 권력과 대응 방법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