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조적인 놀이환경 운영을 통한 유아 주도의 자유놀이 양상
Aspects of child-led free play through the operation of an unstructured play environment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5권 제3호
-
2021.09323 - 354 (32 pages)
-
DOI : 10.22590/ecee.2021.25.3.323
- 828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비구조적인 놀이환경 구성 및 운영을 통해 유아 주도의 자유놀이 양상을 탐색하고 그 교육적 함의를 찾는 것에 있다. 비구조적인 놀이환경이란 시간, 공간, 놀이자료가 구조화된 형식을 가지지 않고 운영과 방법이 자유롭게 열려있는 놀이환경을 의미하며, 인적환경인 교사의 역할이 ‘교수자’가 아닌 ‘지원자’인 개념을 의미한다. 연구기관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S유치원 만5세반에서 2020. 5월부터 12월까지 실내외 자유놀이시간동안 총 36회기의 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 일지와 교사일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유아 주도의 자유놀이 양상은 첫째, 비구조적 놀이공간 운영에 따른 양상으로 공간을 넘나드는 놀이, 형/동생/친구와의 재미있는 놀이, 점점 확장되고 통합되는 놀이를 보였으며, 둘째 비구조적 시간운영에 따른 양상으로 길게 몰입하는 놀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놀이특성을 보였다. 셋째, 비구조적 놀이자료 운영에 따른 양상으로 내 맘대로 만들어 노는 놀이, 연령과 놀이방법의 경계가 허물어진 놀이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비구조적인 놀이환경 운영을 통해 ‘놀이주체자’로서 주도적인 놀이를 통해 의미 있는 배움을 만들어가는 유능한 유아의 모습을 재조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pects of free play led by children through the operation of an unstructured play environment and fi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Unstructured play environment means a play environment in which time, space, and play materials do not have a structured format and structures and methods are freely open. The institute conducted a total of 36 sessions of free indoor and outdoor play hours from May to December 2020, and carefully read and categorized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play aspects of children in free play led by children were first, play across spaces, play with friends, expanded and integrated, second, play with long immersion and tail-biting characteristics. Third, the aspects of the play materials showe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age and play method were broken dow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ppearance of competent children who create meaningful learning through leading play in an unstructured play environm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