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직은 목표를 달성하고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적자원 관리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잡크래프팅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잡크래프팅은 현대적 직무설계 방식으로 개인이 능동적으로 환경을 예측하고 변화를 주도함으로써 직무를 재설계하는 것으로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잡크래프팅을 증진시키는 선행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의 맥락에서, 구성원이 인지하는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선행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이러한 선행요인들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성과변수 중 하나인 맥락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충청지역의 4개 대학교에 재직 중인 팀장과 직원의 310쌍의 설문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재적 보상의 하나인 보상만족은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선행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보상의 측면에서는 개인-직무적합성이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 모두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맥락적 성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외재적 보상과 내재적 보상 모두 잡크래프팅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으며,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조직과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조직의 인적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잡크래프팅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상만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잡크래프팅을 증진시키는 선행변수로서 역할을 하며,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Organizations can achieve their goals and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by having organizational members take the lead in their duties. Accordingly,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research on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recently, the concept of job crafting has been focused on. Job crafting is a modern job design method in which an individual actively predicts the environment and redesign their job. Thus,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job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that increase employees’ job crafting.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extrinsic and intrinsic compensation, we sought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rewards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P-J Fit) on job crafting.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s (i.e., rewards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and job performance. To test the hypotheses, we used the data of a questionnaire of 310 team leaders and employees working at four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ed that reward satisfaction, one of the extrinsic rewards, plays a critical role as an antecedent that increases job crafting. In terms of intrinsic reward, personal-job fit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crafting. In addition, both reward satisfaction and personal-job fit were found to enhance contextual performance through job crafting. These results show that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rewards can be a precursor to job crafting, and can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job craft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job crafting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organization s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fact that reward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can be an important antecedent to promote job crafting. This study also gives significant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that lead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측정
Ⅳ. 분석결과
Ⅴ. 토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