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450.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인의 생애주기별 사회안전도 인식과 영향 요인

Social Safety Perce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by Life Cycle of Adult

DOI : 10.52902/kjsc.2021.13.137
  • 218

예상하지 못한 재난과 신종질병이 발생하면서 국민들의 사회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른 다양한 안전관리 정책도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사회전반에 걸쳐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세 이상 성인들의 생애주기별 사회안전도 인식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상태·환경평가 요인을 비교·분석하여 최근의 추세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사회안전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및 2020년 사회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통계청 소속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에서 제공받아 시행한 2차 분석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사회조사 응답자 중 19세 이상 성인 2018년 34,883명, 2020년 35,33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성인의 전반적사회안전 인식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나, 2018년 대비 2020년에 소폭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전반적사회안전 인식도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효율적·체계적인 안전 정책 및 서비스를 지속해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반적사회안전도 인식은 여성, 고연령층, 저소득층, 고졸, 고용주·자영업, 읍․면 지역과 같은 사회취약계층에서 대체로 낮으므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안전 정책 강화가 요구된다. 또한, 나쁜 건강수준, 스트레스, 낮은 삶의 만족도, 나쁜 생활환경에 대한 평가, 준법정신 상황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요인에서도 전반적사회안전도 인식이 낮아 개인의 안녕감이 사회안전과 분리될 수 없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개인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증진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생애주기별로는 노년기와 중년기의 사회안전도 인식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장년기, 청년기로, 생애주기별로 차이를 보여 사회안전 정책을 시행할 때 생애주기를 고려한 대상자에게 특화된 안전체계수립과 생애주기에 맞는 안전교육과 소통과정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occurrence of unexpected disasters and new diseases, the public s interest in social safety is increasing. In a situation where various safety management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anxiety about safety appears throughout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social safety awareness by life cycle of adults aged 19 and older with the factors of demosocial and health condition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identify the latest trend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social safety system establishment.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conducted by receiving raw data of social surveys in 2018 and 2020 from the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belonging to the Statistics Korea. Among the respondents surveyed, 34,883 adults aged 19 or older in 2018 and 35,331 in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dow 26.0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social safety awareness of adults in Korea was moderate level, but it is increasing slightly in 2020 compared to 2018. Efficient and systematic safety policies and services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at the national level to raise the overall level of social safety awareness in the future. Second, the overall social safety awareness is generally low among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such as women, the elderly, low-income people, high school graduates, employers and self-employed people, and the rural area,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afety policy for the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In addition, the overall social safety awareness was low in the factors of negative evaluation of poor health level, stress, low life satisfaction, poor living environment assessment, and law-abiding mentality situation, indicating that individual well-being cannot be separated from social saf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a safety promotion program that can be felt by individuals. Third, social safety perception was the lowest in old age and middle age, followed by adulthood and youth, showing differences in terms of life cycle. When implementing the social safety polic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system specialized for the target person considering the life cycle,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safe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process suitable for the life cycl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