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의 세 가지 하위차원인 공공가치 몰입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동정심(compassion), 자기희생(self-sacrifice)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동기부여 과정이론인 공정성 이론(equity theory),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이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차원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시장형 공기업 A 기관에 근무하는 직원 6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차원 중 공공가치 몰입이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기부여 과정이론인 세 가지 이론은 부분적으로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봉사동기의 하위개념 중 공공가치 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공정성 이론과 기대 이론의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봉사동기의 또 다른 하위 개념 중 자기희생의 경우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이론의 조절효과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ublic service motivation includes three sub-dimensions: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compassion, self-sacrifice. More importantly, the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theory as a device to moderate public service motivation towar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rocess theory of motivation includes equity theory, expectancy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article has found that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equity theory and expectancy theor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self-determination theor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imply the process theory of motivation could be a strategy for effective HR manage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