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난수도 부산 문학장은 여러 문학 주체들이 회우하는 가운데 재편되었던 역동적인 문학의 장소였다. 이 글에서는 그 과정에서 등장한 문총구국대, 문총북한지부, 재부작가라는 항에 주목하였고, 전후 문학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매체인 『자유문학』, 『문학예술』, 『현대문학』의 토대가 구축되고 준비되었던 측면을 피난수도 부산 문학장으로부터 포착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럼으로써 문학사에서 피난수도 부산 문학장을 예외나 단절이 아닌, 기원과 연속의 측면에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문학에 반공주의와 전쟁 동원의 성격은 상수로 존재했지만, 표면적인 반공의 기표 자체에만 주목하기보다는 문학장을 재편하고 갱신하려 했던 그 이면의 주체의 욕망들, 창작 활동의 영역을 구축하고 확보하려 했던 인정투쟁들이 반공주의와 접속하였던 수행적 측면을 이 글에서는 좀 더 부각하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전시 문학에서 나타나는 반공주의를 훨씬 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literary scene in the refugee capital Busan was dynamic as various literary personnel gathered and regrouped. Among the many group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groups that were created during the period - the National Associ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NACO)’s Gugukdae, which was an association of artists gathered to save the nation, the North Korean branch of NACO, and regional writers from Busan — to identify how the literary scene in Busan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major literary magazines, such as Jayumunhak (Free Literature), Munhakyesul (The Literature and Art), and Hyeondaemunhak (Contemporary Literature), all of which played pivotal roles in the post-war literary scene.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reposition the literary scene in the refugee capital Busan as an origin and continuum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rather than a period of exception and severance. It is a fact that anti-communism and war mobilization coexisted in literary works during this era. However,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ignificant of anti-communism itself, this paper focused on the ulterior desires to reshuffle and renew the literary scene and the struggles for recognition that aimed to establish and secure space for creative activities, later to form anti-communist connections. Through such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more complex view toward anti-communism in wartime literature.
1. 서론
2. 문총구국대—피난수도 부산 문학장의 전위
3. 문총북한지부—월남문학장의 구축과 재생산
4. 재부작가와의 혼종과 그 유산
5. 결론을 대신하여—피난수도 부산이라는 문학의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