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471.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Wearable Robots Among Older Adults

DOI : 10.31888/JKGS.2021.41.5.825
  • 738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로봇은 신체 균형과 근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보행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재활 분야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최근 근력 감퇴를 예방하는 운동 목적의 로봇이 개발되고 있어, 노년기 운동 참여도와 효과성을 증진할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보는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운동 로봇의 기술수용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과 지각된 용이성(perceived ease-of-us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Chen과 Chan(2014)이 기존 이론을 노인세대의 특성에맞추어 확장한 노인기술수용모델(STAM: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였다. 지각된 유용성은 로봇이 자신에게 유용할것으로 인식하는 정도이며, 지각된 용이성은 로봇을 사용하기 편리할 것이라는 인식의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년공학(gerontechnology) 특성, 다차원적 건강 특성을 단계적으로 추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에 어려움이 없는 65세 이상 노인 3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노년공학 자기효능감과 불안, 촉진조건이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 하지만 노년공학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과는정적 상관을, 지각된 용이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과 성별, 교육수준은 지각된 용이성을 예측하는 요인이었으며, 건강 특성 중 삶 만족도가 높을 때 지각된 유용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수용모델이 적용되는 기술의종류에 따라 핵심 요인 간 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년공학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불안감을 낮추기 위한 중재의중요성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of-use (PEOU) about lower limb exoskeletons. Participants are 310 older adults who are 65 or over without cognitive problems. Applying the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TAM) proposed by Chen & Chan (201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Potential predi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ociodemographic, geron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health factors). Results implied that gerontechnology factors are core elements explaining PU and PEOU.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gerontechnology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 Ag e and gender, education, among sociodemographics, was associated with PEOU, partly supporting inequality in technology acceptance. Among health factors, it was significant that when life satisfaction got lower, the level of PU increased.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irical analys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epend on the context of applied technology.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significance of interventions promoting technology-specific self-efficacy and coping skills for anxiety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