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어커트 도해도에 관한 고찰 연구
A Study on Hair cut Drawing
- 김정희(Jung-Hee Kim) 윤천성(Chun-Sung Youn)
- 한국뷰티산업학회
- 뷰티산업연구
- 제15권 제1호
- 2021.06
- 33 - 46 (14 pages)
헤어커트의 기본이 정립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준비하고 계획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헤어커트 도해도는 커트 과정을 보여주는 상세도이기 때문에 보다 더 구체화 되어야 하며, 전문적 이어야 한다. 하지만 헤어커트 도해도를 그리는 순서와 방법이 기본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아 그리는 사람마다 표현하는 방법과 전개방법이 제각각인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의 헤어커트 도해도에 관한 고찰연구로 이론적 배경에서 헤어미용과 헤어디자인, 헤어커트 도해도에 대해 살펴보고, 헤어커트 도해도에 대한 표현이 어떻게 정리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로 헤어커트 도해도의 헤어디자인에 관련된 연구 5편, 교육에 관련된 연구 3편, 건축설계 및 구조를 헤어디자인에 응용한 연구 2편이 있다. 헤어커트 도해도의 중요성과 인식은 많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헤어커트 도해도를 그리는 방법으로는 각 연구마다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헤어커트 도해도를 그리기 위한 제작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헤어커트 도해도의 선행논문을 바탕으로 헤어커트 도해도에 대한 제작방법의 순서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바라며, 헤어커트 도해도가 헤어디자인과 헤어스타일을 만들기 위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향후, 이를 기초 자료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헤어디자인과 헤어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s of Hair cut, it is essential to have the process of preparation and planning in advance. As the detailed drawings showing the process of cutting hair, the Hair cut drawing should be more concrete and specialized. However, the order and method of drawing the Hair cut drawing have not been basically decided, so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develop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each drawing person. As a research on Hair cut drawing in hair beauty, this study examined the hair beauty, hair design, and Hair cut drawing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lso examined the method of expression in Hair cut drawing.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ceding researches, there were five researches related to Hair cut drawing, three researches related to education, and two researches applying the architectural design & structure to hair design. Even though the importance and perception of Hair cut drawing were a lot generalized, the method of drawing the Hair cut drawing was variously expressed in each research.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method of production for drawing the Hair cut drawing.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production method and order of Hair cut drawing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on Hair cut drawing. A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air cut drawing on the hair design and Hair style, and how the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reating hair design and Hair style by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