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489.jpg
KCI등재 학술저널

『靑莊館全書』를 통해 재구한 李德懋 초기 삶의 궤적

The trajectory of Lee Deok~moo(李德懋) s early life through 『Chungjangkwan Jeonseo(靑莊館全書)』

DOI : 10.21794/ddhm.2021.66.193
  • 137

본고는 『靑莊館全書』에 수록된 작품들을 통해 이덕무 초기 삶의 궤적을 살펴보았다. 작품의 저술시기를 考究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작품을 통해 살필 수 있는 삶의 특징적 면모를 서술하였다. 李德懋(1741~1793)는 53년 생애를 살았는데, 그동안 71권 33책의 방대한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이를 통해 그의 전 생애를 살피기엔 지면상 한계가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덕무 문학의 형성기라 할 수 있는 27세까지의 초기 삶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이덕무의 생애를 살필 수 있는 기초 자료인 <年譜>는 그의 아들 이광규에 의해 정리되었는데, 대체로 39세 검서관 벼슬을 한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자세하지만, 그 이전 시기에 대해서는 대단히 소략하다. 그리고 이덕무는 연암일파의 일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덕무가 연암을 만난 것은 28세 때이다. 따라서 이덕무 28세 이전의 작품은 연암과 무관하게 창작된 것이고, 이는 이덕무의 문학관이 연암을 만나기 이전에 이미 형성된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덕무 문학의 형성 배경으로서의 이덕무의 삶을 살피고자 한다면, 연암을 만나기 이전 시기에 대해 보다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는 27세까지의 작품의 저술 시기를 고구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이를 통해 살필 수 있는 특징적인 삶의 모습을 ‘저술과 교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편의상 세 시기로 나눠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부터 19세까지로, 이덕무 저술 활동이 시작되었던 시기이다. 이덕무의 유년 시절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외숙 박순원의 집에 우거하던 시기로, 詩作이 시작되었다. 산문으로는 <鵲巢上樑文>과 <戊寅篇>이 있고, 시는 66수 정도가 있다. 저술활동을 시작하는 단계였으므로, 저술의 분량도 많지 않고 질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것은 아닌 듯하다. 교유는 內弟박종산, 姨弟 여좌백, 妻男 백동좌, 백동수와 친분이 두터웠다. 둘째, 20세부터 24세까지로, 남산 아래 거주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이덕무의 교유와 저술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19세까지 박순원의 집에 우거하던 이덕무는 20세에 남산 아래 장흥동으로 이사를 하였다. 교유는 이웃에 거주하던 남홍래, 남명래, 정자성과 이형상, 윤가기, 이명오, 박종산, 서찬수, 이광석, 윤경지 등 詩會를 하던 문인들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들은 시회를 열고, 담론을 즐기며, 함께 유람을 하고, 서로 시문과 서문, 기문 등을 주고받는 등 교유도 확대되고, 저술 활동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셋째, 25세부터 27세까지로, 이 시기에는 저술활동이 많지 않았다. 단지 <이목구심서>와 벗들에게 보내는 척독, 그리고 약간 편의 시가 있을 뿐이었다. 이덕무는 1765년 5월 1일에 모친상을 당했는데, 그 이전부터 어머니 병간호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 따라서 목적성을 가진 전문 저술을 하는 것은 형편상 어려웠다. <이목구심서>는 듣고 보고 말하고 느낀 것을 자유롭게 쓴 글이고, 척독은 벗들에게 안부를 전하는 글이다. 그러므로 어머니를 잃고 슬픔에 빠진 이덕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저술 활동이었다고 하겠다. 하지만 <이목구심서>에서 이덕무의 일상과 독서, 그리고 벗들과의 교유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유는 이전 벗들과 지속적으로 이어졌는데, 대부분이 서얼 문인이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trajectory of Lee Duk~moo s early life through the work in Chungjangkwan Junseo . The period of writing of the work was investigated and listed sequentially, and the aspects of life that can be examined through the work were summarized.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early life up to the age of 27, a formative period of Lee Deok~moo s literature. First, The period of writing of the work was investigated and listed sequentially. And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life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work. Especially, I focused on his writing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wor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from 17 to 19 years old. Lee Deok~moo lived in his uncle Park Soon~won s house. During this period, because of Lee Deok~moo began to write works, the amount of works was small and the level was not high. Second, from 20 to 24 years old. Lee Deok~moo lived under Namsan Mountain. During this period, His friendship and writing activities were the most active. Third, from 25 to 27 years old.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not many writing activities. There are only Yimokgusimseo(耳目口心書) and a few letters to his friends and a few poems. This is because Lee Deok~moo mother died on May 1, 1765, and he took care of his mother s illness before that. So it was difficult for him to do professional writing with a purpose. Yimokgusimseo is a record of what you hear with your ears, see with your eyes, speak with your mouth, and feel with your heart. And the letter is a message of regards to his friends. Therefore, it was the best writing activity that Lee Deok~moo could do after losing his mother. During this period, His friendship continued to be connected with his former friends, most of whom were seoeol(庶孼) writers.

1. 머리말

2. <연보> 속 이덕무의 삶

3. 청장관전서 를 통해 재구한 이덕무의 삶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