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501.jpg
KCI등재 학술저널

모성의 관계적 본질과 교육인간학적 의의

The Relational Nature of Motherhood and Its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 76

이 연구는 모성의 정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관계적 본질을 고찰한 다음, 그에 근거한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모성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게 가지는 본능이며 실질적인 양육 활동 속에서 학습되는 경험으로, 어머니가 아이와 맺는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모성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그 생명을 보호하고 보존하며, 인간을 지적ㆍ정서적ㆍ신체적으로 양육한다. 모성은 생물학적 성(性)과 본질적인 동시에 비본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모성과 재생산 가능성의 관계를 통하여 성별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게 한다. 인간은 탄생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이 세상에 태어나며, 어머니는 결핍된 상태로 낯선 시공간 속에 태어나는 아이를 돌봄으로서 모성을 실천한다. 유아는 모성적 돌봄이 행해지는 따뜻한 가정 속에서 자라나야 하며 그 경험이 발판이 되어 고유한 개별적인 존재로서 안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된다.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제시하면, 모성은 성(性)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 주며, 탄생성과 그로 인한 교육의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모성적 돌봄과 교육을 통해 인간이 자기완성에 이르게 하며, 개인화되고 물화(物化)된 현대사회에서 모성적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otherho d, to examine the relational nature,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based on it. Motherho d is an instinct that a woman has for her child as a mother, and it is an experience that is learned through practical parenting activities, and is formed in a mother s relationship with her child. Motherho d creates humans, protects and preserves their lives, and raises humans intel ectual y, emotional y, and physical y. Motherho d has an es ential and non-es ential relationship with biological sex, and makes humans understand as beings with gend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 n motherho d and reproducibility. Humans are born in this worl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birth, and mothers practice motherho d as caring for children born in unfamiliar time and space in a state of deficiency. Infants must grow up in a warm family where maternal care is performed, and the experience becomes a stepping stone and can be stably independent as a unique individual being. Presenting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motherho d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with sex and makes them aware of birth and the resulting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maternal care and education, humans reach self-completion. And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relations in a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modern society.

Ⅰ. 서론

Ⅱ. 모성의 이해

Ⅲ. 모성의 관계적 본질

Ⅳ.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