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48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성인의 긍정과 부정 감정 색채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Korean Adults

DOI : 10.46248/kidrs.2021.3.322
  • 427

색채는 셀프 케어 시대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감정 소통의 도구로 확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이 색채에서 느끼는 감정의 특징을 조사하고 정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대 이상 한국인 성인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일상에서 빈번하게 경험하는 일상의 감정을 대상으로 색채와 연관성을 밝힌 실험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로 색채에서 느끼는 주요 감정의 특징과 각 감정 어휘와 연관된 색의 특징이 도출되었다. 1차로 한국 성인 174명을 대상으로 87개의 감정 어휘를 대상으로 빈도 높은 주요 감정 어휘를 18가지로 정리하였다. 2차 연구로 200명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감정과 33 색채의 관계를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색채와 감정 어휘의 상관성 검증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감정 어휘와 30색은 0.001의 유의 수준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음(&#57367; &#57397;=1208.012, p < .001) 이 증명되었다. 색채와 관련된 감정 어휘로 가장 비율이 높게 선택된 긍정 어휘는 ‘편안하다’이고 가장 선택 비율이 높은 부정 어휘는 ‘답답하다’이다. 밝은 톤과 선명한 톤은 대부분 긍정 감정과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진한 톤은 부정 감정과 상관성을 보였다. 긍정 어휘의 빈도는 밝은(45.7%) > 선명한(37.0%) > 진한(17.1%)의 순으로 높았고, 반대로 부정 어휘의 빈도는 진한(58.4%) > 선명한(27.6%) > 밝은(13.9%) 의 순으로 높았다. 긍정 어휘는 밝은 색채와 부정 어휘는 진한 색채와 더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감정에 관한 연구는 지속할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예술 교육, 심리, 상담, 복지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사회적인 주제로 언급한 감정 케어 영역에서 색채가 의사소통의 도구로 활용되기 바란다.

In the advent of the self-care movement, colors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into the realm of emotional communication. I studi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lor for Korean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s felt by Korean adults in col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Korean adults in their 20s or older.The content of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experimental method tha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emotion and color.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emotions felt in col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ssociated with each emotion vocabulary were derived. Firstly, 87 emotional vocabulary were summarized into 18 major emotional vocabularies with high frequency from the survey of 174 Korean adults. Secondly, I surveyed another 200 Korean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18 major emotions and 33 color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hi-square te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and emotional vocabular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nd color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01(&#57367; &#57397;=1208.012, p < .001). The positive vocabulary with the highest rate of positive word is at ease and the negative vocabulary with the highest rate of choice is ‘frustrated’. The frequency of positive vocabulary was highest in the order of bright (45.7%)> Vivid (37.0%)> Deep (17.1%). The frequency of negative vocabulary was highest in the order of Dark (58.4%)> Vivid (27.6%)> bright (13.9%). The study of color emotion deserves to be sustained.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communication tools in the fields of psychology, counseling, and welfare, as well as design and art education. I hope color will be used as a tool to help communication in the domain of emotional care and self-car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감정어휘 조사와 색채 선정

4. 주요 감정 어휘와 색채 실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