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392.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봉동고분군 축조집단의 성격 시론

A study on the group who constructed Shinbongdong tombs of the Packche period

  • 12

백제는 주변 지역집단 혹은 지역정치체를 포섭과 복속이라는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통합해 나갔다. 이러한 각 단계를 통하여 백제가 이웃집단을 통합하고 나아가 지배체제 속에 편입해 나간 포괄적이고도 기본적인 전략은 총체적 체계 속에서 타집단과의 각종 정치 경제적 관계망 재구성과 그 공고화, 그리고 그 효율성 달성을 위한 한성백제 지배집단의 포괄적인 권력 증대, 달리말해 헤게모니 강화에 있었다. 이는 곧 사회내외 스트레스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와 그에 일상적으로 대비하는 체계(중앙집권적 국가) 구축과 직결된다. 이러한 체계 구축 작업의 시발점은 지역단위 정치체와의 경쟁으로부터 출발한 상호관계 재구성에 있었지만, 일단 국가체제를 갖춘 상태에서 그 수준의 비약적 제고에는 고구려의 성장과 영역확대라는 외적 조건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이러한 백제의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사회통합 전략은 충청지역 전반에서 백제 한성지역과 동일 양식을 다중배열조합 상태로 공유하는 이 지역 토기복합체와 석곽묘, 석실분 등 매장주체부 구성에 돌을 사용한 무덤 등 비마한적 문화요소들로부터 뚜렷이 간취된다. 한편 신봉동고분군은 이렇게 예상되는 한성백제 물질문화 요소의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출현 양상에서 다소 일탈된 양상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석곽묘와 한성지역 위세품의 부재로 대표되는데, 이는 백제의 이 지역집단에 대한 특수한 지배 방식에서 기인하였다. 지정학적 중요성이 두드러지는 청주지역 집단에 대해 백제는 일찍(4세기후반)부터 복속을 꾀해 백제 중앙권력에 부속된 군사관련 전문 종사집단 및 그 부수집단으로 편제하고, 지역 수장의 독자적인 성장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한 지배방식은 5세기 중엽에 이르러서는 달라진다. 이는 곧 고구려의 평양 천도와 삼국간 대치 국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백제의 광역적이고 보편적인 지방지배체제에 편입됨을 의미하는데, 충청지역의 석실분은 그를 반영하는 고고학적 지표이다.

It can be assumed that Paekche, through the diplomatic tactics and military actions, gradually conquered other polities and groups which were located in its frontier areas during the 3th and 4th century. The main strategies of Packche state at this time was not only the re organization, intensification of the social political networks among the polities, but also the solidification of the elite s hegemony over the society. These are cleary associated with the issues of how to control social unstability and how to form the centralized institutions. In oder to establish the institutions, however, as the time passed it was more important to deal with the growing Koguryo, than to control local polities. While,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Packche strategies are cleary seen at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of the Chungcheng province, including pottery assemblage and funerary tombs, the Shinbongdong tombs show unusual features which indicate distinctive intervention of the Packche state. Especially with the Chengju region, Packche tried to govern this area thoroughly until the mid 5th century AD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situations in the Peninsula, although it properly repressed the growth of the local polities during the late 4th century AD. The stone chamber tombs located in the Chungcheng province are representitive of the historic aspect in the mid 5th century AD.

Ⅰ. 머리말

Ⅱ. 사회통합 과정에 대한 예비 모델

Ⅲ. 신봉동고분군의 현상과 시간상 위치

Ⅳ. 한성백제의 지방 편제와 신봉동고 분군 축조 집단의 성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