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392.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당동유적의 고고학적 특징과 사회적 성격

Reconstruction of the Social Aspects of Cheongdangdong Site from the Archaeological Material

  • 34

중서부지역 원삼국시대의 대표적 유적인 천안 청당동유적의 사회적 성격을 고고학 자료의 특징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청당동유적의 위계구조 분석을 위해서 고려된 요소들은 매장구조의 특징, 부장품의 질적양적 특징, 무덤의 위치 등이다. 그 결과 Ⅰ기에는 자료가 부족하여 분명하지 않지만, Ⅱ기와 Ⅲ기에서는 최소한 세 단계의 계급구조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최상위층은 부장품 뿐 아니라 목곽묘라는 점에서 다른 무덤과 분명하게 구분되어진다. Ⅲ기의 최상위층 목곽묘는 규모가 청당동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다른 무덤들과의 차등이 더욱 심화된 모습을 보인다. 세 등급의 무덤들에 대한 공간 배치의 정형성를 살펴본 결과 계급별로 묘역을 의도적으로 구분하지는 않았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청당동의 토기의 특징과 외래물품의 의미를 고려했을 때 청당동의 고고학 자료는 한성백제의 영향과 관련되기보다는 마한의 독자적인 변화과정의 산물로 해석된다.

Social aspects of the Cheongdangdong site, one of the most important sit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midwest Korea,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aeological material. Hierarchical structure was inferred from the various features of the burial structu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of the burial artefacts, Ⅱ and Ⅲ spatial distribution of the burial structure. At least three ranks were identified in the phases and , while information about rank system for the phase Ⅰ was difficult to retrieve because of insufficient data. Tombs for the highest rank were clearly marked for their wood-lined burial structure as well as rich burial artefacts. Tomb for the highest rank in the phase Ⅲ was the largest in size, and showed increased superiority over tombs for the lower ranks.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showed absence of the demarcation among different ranks. Characteristics of pottery and imported prestige goods of the site suggested that the Chongdangdong culture was not related with the influence of Hanseong Paekche but with the indigenous development of Mahan polity.

Ⅰ. 머리말

Ⅱ. 청당동 유적의 개요와 편년

Ⅲ. 청당동 유적에 나타난 신분적 차등 양상

Ⅳ. 청당동 유적의 위계적 특징

Ⅴ. 청당동 유적의 사회적 정체성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