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533.jpg
KCI등재 학술저널

몽골의 수출입구조 분석과 무역정책 혁신 방안

An Analysis of Trade Structure in Mongolia and Renovation of Trade Policy

  • 6

본 논문은 주로 1990년 시장개방 이후 몽골의 수출입에 대한 연간 자료를 중심으로 수출입구조와 그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무역정책 혁신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몽골은 시장개방 이후 수년 간 심각한 체제전환 불황을 겪으면서 수출입규모도 크게 위축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 구리 등 광산물의 국제가격 상승과 국내 경제발전 등으로 무역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수출이 광산물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어 ‘네덜란드 병’의 위험이 있으며,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은 점도 수출입 구조의 취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몽골은 수출입상품의 다양화와 무역 대상 국가의 다변화를 위해 산업정책의 혁신과 통상외교정책의 강화가 요망된다. 무역정책 혁신을 위해 몽골은 그 외에도 지속적인 제도개혁이 필요하며 내륙국가로서 물류비용의 절감, 경제자유구역의 적극적 활용 등이 장기적으로 요망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de structure of Mongolia with annual data after the transition to market system in 1990, and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novation of trade policy. Mongolia has suffered the transformational recession for a long time since 1990s, so that the foreign trade volume also has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trade volume has expanded again since 2000s, according to the surge of mineral price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domestic economic recovery. Because the dependency of exports on mineral products, however, is very high, it might be a symptom of Dutch disease and a slowdown in the global economy could reverse the gains from the terms of trade. Since Mongolia depends strongly on Chinese import demand, also a slowdown in the Chinese economy could give a reverse effect on Mongolia s economy in the future. Therefore, for the renovation of trade policy, Mongolia needs to reform the economic and soci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 the foreign commerce policy to promote its exports. Also Mongolia needs to renovate the logistic system as a land-locked country and restructure the industrial policy in the long term.

Ⅰ. 서론

Ⅱ. 몽골의 대외거래 현황

Ⅲ. 몽골 무역구조의 특성

Ⅳ. 무역정책 혁신 방안

Ⅴ. 요약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