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재인식론의 재인식 개념을 재인식론의 대표적 경전인 『자재신재인식송(自在神再認識頌, Īśvarapratyabhijñā-karikā)』(IPK)과 주석서인 『자재신재인식송주(Īśvarapratyabhijñā-vimarśini)』(IPV), IPV의 요약서인 『재인식정수(Pratyabhijñā-hṛdayam)』(PH)와 기타의 재인식론 관련 논서들을 통해 해설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도의 전통적 지식론의 일반적 재인식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에 따르면 재인식이란 예를 들어 “이것은 어제의 그 사과다”라는 경우처럼 이것이라는 현재의 지각과 어제의 그 사과라는 과거에 경험한 사과에 대한 지각이 동시에 발생하여 지금의 지각을 과거의 지각에 따라 확인하는 지각이다. 다음으로 불이론 쉬바파의 재인식 개념을 아비나바굽타는 “푸라나들이나 싯단타, 아가마들이나 추론들을 통하여 얻은 완전한 힘(pūrṇaśakti)을 가진 자재신에 대한 지식과, 늘 면전에 존재하는 자성(自性)에 대한 즉각적인 경험, 두 경험들의 통합을 통하여 “확실히 나는 자재신이다”라는 형태로 [재인식은 일어난다.]”고 하였다. 아비나바굽타의 정의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중국 불교철학의 체상용개념을 이용해서 재인식의 개념을 설명했다. 아울러 재인식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를 염오(染汚, mala)와 칸추카(kañcuka) 개념을 설명하면서 해설하였다.
This paper explained the concept of Pratyabhijñā through Īśvarapratyabhijñā-karika(IPK), Īśvarapratyabhijñāvimarśini(IPV), and Pratyabhijñāhṛdayam(PH) that are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the Pratyabhijñā-vāda To this end, first, the general concept of India’s traditional knowledge theory on recognition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recognition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This is the apple of yesterday,” what current one perception of ‘this’ and other perception of ‘the apple of yesterday’ occur at the same time to some one, and then he/she confirms current perception on the apple of now through the past(yesterday) perception on the apple And Abhinavagupta who a great scholar of Advaita Śaiva said on the concept of the Self-recognition(Pratyabhijñā) as like that “…… having been got through the well known Purānas, Siddhānta, Āgama and inference etc., and the immediate apprehension of one’s own self being always there, recogition arises through the unification of two experiences in the form : ‘Certainly I am that very Lord.’” This paper is based on Abhinavagupta’s definition on the Self-recognition and tried to explaine the concept of it through the concept of the essence(體), the reason(相) and the function(用) of Chinese Buddhism. Then,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the Self-recognition does not occur through the concept of mala(dirt) and kañcuka.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약호 및 참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