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591.jpg
KCI등재 학술저널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방식과 정신건강의 관련성

Correlations of Stress Appraisal and Coping in the COVID-19 Situation with the Mental Health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OI : 10.21478/family.33.3.202109.002
  • 267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정신건강 증진과 스트레스 회복을 위하여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방식과 그들의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평가(위기, 도전, 위협) 및 대처방식(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 역기능적 대처)과 우울감, 삶 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29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했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 수준, 가정의 월평균 소득, 주당 근로시간(36시간 이상, 36시간 미만), 미취학 자녀 유무)과 부모의 결혼 만족도를 통제변수로 포함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방식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우울감과 삶 만족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을 위기로 평가하거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 역기능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우울감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반면 이를 도전으로 평가하거나 문제중심적으로 대처할수록 우울감이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을 도전으로 평가할수록 삶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나, 위협으로 평가할수록 삶 만족도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상황을 위기보다는 하나의 도전으로 평가하도록 돕고, 다양한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방법이 COVID-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정신건강을 증진 시키는데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s of stress appraisal and coping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their mental health for the promotion of their mental health and recovery from stres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data on 299 person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education level,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weekly working hours (More than 36 hours and less than 36 hours), and whether they have preschool children or not)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as control variables to check the correlations of stress appraisal (crisis, challenge, and threat) and coping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dysfunctional coping) wi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ress appraisal and coping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articular, those who appraised the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as a crisis or used dysfunctional coping for coping with stress tended to have higher depression. Meanwhile, it turned out that those who appraised that as a challenge or used problem-focused coping for that tended to have lower depression. In addition, those who appraised the social distancing situation due to COVID-19 as a challenge ha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le those who appraised that as a threat had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rvention method that helps evaluate the COVID-19 situation as a challenge rather than a crisis and helps apply problem-focused coping method of the various coping methods can be a useful help for promoting the mental health of dual-income parents with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COVID-19 situation.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