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탄소중립(Net Zero)이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rbon Neutrality (Net Zero) on the Shipping Industry

  • 685
159647.jpg

정부의 탄소중립(Net Zero) 선언은 이산화탄소 등을 다량 배출하고 있는 산업의 생산 및 수출입 구조에서 대전환이 예고하고 있다. 이는 벌크선, 원유 및 석유제품운반선 등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국적선사들의 해상운송 수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는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전력산업의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쇄와 철강산업의 생산 공정의 변화가 원재료인 유연탄의 해상운송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전기차/수소차로의 전환에 따른 정유산업의 석유 및 석유제품의 수출입 구조의 변화가 해상운송 수요에 미치는 영향 관계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탄소중립에 따른 전력산업, 철강산업 및 정유산업의 구조변화로 2040년경 유연탄은 3,031만톤, 석유와 석유제품은 8억 4,826만 배럴의 해상운송 물동량 감소가 예상되었다. 이에 대비하여 정부는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LNG 등 전략화물의 국적선사 적취율 개선과 액화수소 해상운송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tructural changes in the electric power, steel, and oil refining industries following the Korean government’s declaration of carbon neutrality on the demand for maritime transport of bituminous coal and petroleum produ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government’s carbon neutrality policy, the expected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the status of ship ownership of national shipping companies. Based on this, the study predicted maritime transport demands facing shipping compani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demand of the transport of bituminous coal is expected to decrease by 30.31 million tons by 2040. Furthermore, the demand for the transport of oil and petroleum products is also expected to decrease by 848.26 million barrels by 2040.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port authorities should develop an active response plan, improve the utilization rate of national shipping companies for strategic cargo, and prepare a hydrogen transport system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maritime transport demand due to Korea’s carbon neutrality polic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내 해운산업의 주요 현황

Ⅳ. 탄소중립이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제언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