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및 서비스 분야 기업의 창업가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Start-up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 한국생산관리학회
- 한국생산관리학회지
- 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3號
- : KCI등재
- 2021.08
- 235 - 252 (18 pages)
최근 COVID-19 pandemic과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변하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에 활력을 넣고 청년들의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방안으로써 스타트업은 제조 및 서비스 분야의 유용한 대안이 되고 있다. 다만, 스타트업이 기업성과를 높이고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은 외부환경에 대한 대응력 또한 중요시해야 하지만 창업가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가 역량이 조직적인 역량과 기술혁신을 통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창업가 역량을 성취욕구 역량, 조직관리 역량, 기술혁신 역량, 사회적 역량 및 창의적 역량 등 5차원으로 유형화하여 이들이 스타트업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있는 Start-Up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 창업가 역량에 관한 국내 및 해외의 주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설문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를 수거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측정도구의 요인구조 점검,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연구가설 검정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론적 측면에서 자원기반관점에서 강조하고 있는 인적자원과 성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실무적으로는 창업가의 창의적 역량 중요성을 중심으로 강조하였다.
Recently, as a way to revitalize the rapidly changing social mood (caused by aspect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reate jobs for young people, start-ups are being used as useful alternative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However, for start-up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and attain sustainability, they must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most importantly, build their entrepreneurial competence. Therefore,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start-up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rough the len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Data used for analysis in our study were collected from a region called Start-Up which is located at the incubation center of the metropolitan area, Korea. Based on the major previous studies 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in Korea and overseas, we compiled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by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o check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ctor structure measurement tools,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research hypothesis tools were also employ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