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652.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농식품수출과 물류성과지수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s agri-food exports and logistics performance index

DOI : 10.15798/kaici.2021.23.3.339
  • 108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추이를 보이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무역자유화로 인한 농식품 시장의 개방속도가 빠르게 전개되면서 국내 농식품 수출산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농식품 수출증가는 국내농업의 소득증가를 비롯한 농업을 경쟁력있는 산업구조로 재편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물류활동의 역할은 농식품 수출증대 요인으로 가장 큰 관심이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농식품의 특성상 신선도유지와 안전성 확보라는 차원은 물류기능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과 물류효율성으로 나타내는 물류성과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국가로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 주요국가인 일본, 미국, 중국과 신흥시장으로 등장하는 신남방국가를 선정하였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과 물류성과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물류효율성이 수출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물류효율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다양한 물류관련 활동을 적극 모색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Korea s agri-food export sector is a sector showing a continuous growth trend. In particular, as the pace of opening the agri-food market due to trade liberalization develops rapidly, the domestic agri-food export industry is facing a new turn. The increase in agri-food exports is becoming an essential factor for the reorganization of competitive industrial structures, including the increase in income of domestic agriculture. Recently, the role of logistics activities as part of expanding agri-food exports is emerging as a new factor. In particul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ast products of agri-food, the dimension of maintaining freshness and securing safety furth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ogistics functio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s agri-food exports and logistics efficiency index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food exports and logistics performance index for major agri-food exports, Japa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emerging markets, th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agri-food exports. In addition to logistics functions to expand agri-food export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linkage of logistics-related activitie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to agri-food.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농식품수출과 물류성과지수 실증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