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652.jpg
KCI등재 학술저널

글로벌 스타트업 시제품 양산화 성공 요인 분석

Determinants Affecting Mass Production of Global Start-Up : Focusing on Hardware Start-up Prototypes

DOI : 10.15798/kaici.2021.23.3.293
  • 63

현재 미국을 필두로 중국과 주요 선진국에서는 하드웨어 스타트업이 급성장중이다. 스타트업 열풍과 더불어 성공하는 기업들이 크게 늘어나고는 있지만 실패하는 기업들이 훨씬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스타트업도 초기 시장진출 과정에서 핵심 전략을 수립하고 대응하는 것이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드웨어 스타트업의 신제품 개발 성공의 결정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실무적·학문적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결정요인을 스타트업, 시제품, 시제업체, 피트너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스타트업 특성 중 기업가정신 및 시제품의 품질이 양산화 성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스타트업과 시제업체 사이의 협업 및 의사소통도 시제품 양산화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함께 스타트업은 관련 정부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의사소통이 시제품 양산화에 미치는 영향도 제고할 수 있었다.

Hardware startups are rapidly growing around the world. Hardware startups have been growth engines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China. Despite a startup boom, it is true that many of them could not be successful.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startups to establish strategies and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determinants affecting mass production of startup prototypes. In specific, we focus on determinants relevant to hardware startups in Korea. This study classify them into startups, prototypes, manufactures and partnership.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using government policy. We us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collected data from Korean startups.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entrepreneurship, prototype quality,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can be critical determinants to improve possibility of mass production. Last, it is confirmed that a government supporting policy can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and mass production of prototypes.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