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676.jpg
학술저널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through Community Mediation

  • 19

현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분쟁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 중 생활권을 같이하는 이웃 간의 분쟁 사건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웃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서의 주민자율조정이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민자율조정은 지역사회의 구성원인 주민들이 직접 조정인이 되어 분쟁을 해결하는 방식으로서 주민 눈높이에 맞게 자율적으로 분쟁을 해결함으로써 이웃 간 관계의 근본적 회복 및 더 나아가 조화로운 지역사회 조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그 제도적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또한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은 법원이 담당해야 할 법적 분쟁 사건을 사전에 해결하기 때문에 법원의 사건부담을 줄이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는 이웃 간 관계의 근본적 회복과 분쟁해결을 위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 측면 외에 사법정책적인 관점에서도 연구할 가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이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이웃분쟁과 주민자율조정에 관한 일반적 내용으로서 이웃분쟁의 의의, 이웃분쟁의 유형, 주민자율조정의 개념과 허용성, 주민자율조정의 특징과 기능 및 주민자율조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주민자율조정이 정착되고 활성화 된 여러 외국에서의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제도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또한 국내에서의 주요 조정제도를 통한 이웃분쟁 해결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검토를 거쳐 주민자율조정제도를 통한 이웃분쟁 해결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이면서도 다양한 방안들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우선 주민조정인에 관한 사항으로 주민조정인의 독립성과 중립성 및 전문성 확보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주민자율조정의 절차와 효력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주민자율조정의 비밀성 유지와 주민자율조정절차에서의 분쟁당사자의 지위(분쟁당사자의 적극적 의견진술권, 분쟁당사자의 주민조정인 선정권), 주민자율조정 처리기간과 조정안 수락(의제)기간, 주민자율조정과 소송 간의 관계(조정전치주의의 도입, 조정신청의 시효중단효), 조정절차와 소송절차와의 관계, 주민자율조정의 합의효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외부연계형 주민자율조정제도의 활용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웃분쟁 해결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기타 방안으로서의 주민자율조정기구에 대한 홍보의 강화, 주민자율조정기구에 대한 주민의 접근성, 재원확보문제, 주민자율조정제도에 대한 법적 근거의 도입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국내에서의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이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한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disputes in various areas in the world today, the number of disputes between neighbors who live in the same community has been on the rise. To resolve these neighborhood disputes, some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recently partially introduced community mediation as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Community mediation resolves disputes by using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as mediators. It has institu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contributes to fundamentally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s and establishing a more harmonious local community by voluntarily resolving disputes at the neighborhood level. Furthermore, the resolution of disputes between neighbors through community mediation also reduces the caseload for the court because it resolves potential legal disputes before they reach the court. Therefore, it is worth studying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through community mediation not just in terms of fundamentally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s and reducing social costs, but also for establishing judicial polici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through community mediation and suggested various options to establish and promote dispute resolution through community mediation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at general aspects of neighborhood disputes and community mediation: the definition and types of neighborhood disputes, concept and acceptability of community mediati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ommunity mediation,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mmunity mediation. This study also addressed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systems based on community mediation in various foreign countries where community mediation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nd promoted, and further dealt with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practices via major mediation systems in Korea. Lastly, after the above review, this study proposed specific and diverse measures to establish and promote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through community mediation system. First, this study explored how to ensure the independence, neutrality, and expertise of the community mediator. Then,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dures and effects of community mediation, including confidentiality in community mediation, the status of dispute parties in the community mediation procedure (the active right to statements by dispute parties and the right to choose a community mediator), the proceeding period of community mediation and the deadline for the acceptance or deemed acceptance of the mediator s propos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mediation and litigation (introduction of pre-litigation mediation principles and the interruption of prescription for mediation pet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tion procedure and litigation procedures, and the effect of agreement reached by community medi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ird party-linked community mediation and other options to establish and promote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such as strengthening better public relations for community mediation organizations, ensuring local residents’ access to community mediation organizations, securing funding sources, and introducing a legal basis for community medi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ornerstone to establish and promote neighborhood dispute resolution through community mediation in Korea.

제1장 서론

제2장 이웃분쟁과 주민자율조정에 관한 일반적 고찰

제3장 외국에서의 주민자율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제도

제4장 국내에서의 주민조정을 통한 이웃분쟁 해결제도

제5장 주민자율조정제도를 통한 이웃분쟁 해결의 정착과 활성화 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