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 Balzac, on retient souvent l’image de l’écrivain de génie qui sut renouveler le genre romanesque en précurseur du réalisme. Certains sont mêmeallésjusqu’àleconsidérercommele«NapoléondesLettres»car son oeuvre, non content d’être immense, fut prodigieuse et foisonnante: ainsi, l’académicien Xavier Darcos remarque qu’il a écrit pas moins de 91 ouvrages avec 2209 personnages dont 515 réapparaissant dans plusieurs volumes, autant de chiffres qui attestent du caractère monumental de La Comédiehumaine). Il noussembleintéressantdenousdemandercommentBalzacanalyse cettedécisionpolitiqueet,parlamêmeoccasion,quelregardportait-ilsurle roi Louis XIV. Au-delà de cette problématique, il nous paraît également pertinent denous pencher sur lesystèmedereprésentations politiques qui animel’écrivain. Afin de répondre à ces questions, un texte de Balzac, intitulé «Louis XIV»,ettraitantendétaildelaRévocationdel’ÉditdeNantes,severraici étudiéenprofondeur.Dansunepremièrepartie,lecontextedecettesource severratraité.D’autrepart,dansunedeuxièmepartie,afindebiendégager les structures et les particularités de l’étude balzacienne, son regard concernantlaRévocationseverraconfrontéauxobservationshistoriographiques des historiens actuels. Enfin, dans une troisièmepartie, seront étudiés son légitimisme politique et son anti-modernité philosophique. Bien qu’elle ne s’étende que sur quelques pages d’une notice historique, l’approche balzaciennedelaRévocationdel’ÉditdeNantesnousparaîtéclairantesur denombreuxpoints:nonseulement,ellenousdévoileun«Balzachistorien» à l’oeuvre mais, en plus, elle révèle un conservatisme sous-jacent et une penséeréactionnairelatente.
본 연구는 “낭트 칙령의 철회” 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루이14세가 서명한) 퐁텐블로 칙령에 대한 발자크의 견해를 연구했다.이 칙령은 개신교 숭배행위를 금 지하고 프랑스 안에서의 개신교도 박해와 개신교도들의 해외유배라는 꽤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하지만 이 연구에서의 보여지는 발자크는 퐁텐블로 칙령에 호의 적이고 더 나아가 루이14세에게도 호의적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Honoré de Balzac(오노레 드 발자크)의 전집 중 LouisXIV(루이14세)라는 글을 연구했다. 1장에서는 루이14세에 관한 발자크의 글과 배경을 알아보았다.이 글을 통해 우 리는 수필가이며 역사가인 발자크의 면모를 볼 수 있는데,객관적으로 비춰지고 싶 어하는 발자크의 욕구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동시대 사람임을 그의 글을 통해 보여 준다.역사가 오귀스트 티에리 혹은 쥘 미슐레처럼 꽤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관점에 서 서술하고 있다. 2장에서는 발자크가 모범적인 군주로서 루이14세의 모습을 얼마나 칭찬했는지 알아보았다.이것을 통해 비극적 결과는 최소화시켜 보여주고 오히려 독자를 납득 시키려는 퐁텐블로 칙령에 대한 발자크의 생각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그러 나 이 연구 다른 부분에서 강조하듯이 역사적 현실은 발자크의 글과 매우 다르다.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낭트 칙령의 철회는 사실 성공과는 거리가 먼 루이14세통치의 실패를 여실히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데,특히 개신교도에 대한 정치적,종 교적 억압,프랑스 외부로의 대규모 추방 및 기타 여러 가지 악영향 등을 초래했음 을 알 수 있다.대다수 현재 역사가들은 낭트 칙령의 폐지를 비난하는데 동의하 지만,발자크는 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독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애쓰고 있다. 그렇다면 퐁텐블로 칙령에 관한 발자크의 견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무 엇보다도 발자크의 문학적 반근대성,이 경우 친왕족주의,정당주의 및 반동적 이 데올로기로 설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반혁명가 루이 드 보날드의 제자이자 또 다 른 반혁명가 조제프 드 메스트르의 추종자인 발자크는 루이14세의 통치와 퐁텐블 로 칙령을 초보수적이고 반근대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했는데 이러한 역사적,문학 적 수정주의는 발자크의 정당성을 조명하고 그의 작품의 이념적 배경을 더 잘 이 해 할 수 있게 해준다.
1. Introduction
2. Le contexte de I oeuvre
3. La révocation de l Edit de Nantes(1685) : entre interprétation balzacienne et connaissance historique
4. Un Balzac d orientation antimoderne et légitimiste
5. Conclus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