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민 주거만족도 차이 검증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The Housing Polices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 김성연(Seong Yeun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3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0
- 2493 - 2503 (11 pages)
본 연구는 현재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의 주거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주택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조사, 발표한 2019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행정단위, 주택유형·점유형태, 가구 특성에 따라 주택상태 및 주거환경의 주민 만족도가 차이가 있음을 평균 분석(t-test,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① 행정단위별 주민 주거만족도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행정단위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주택정책 수립 권한의 지방 이양을 제안하였다. ② 주택유형·점유형태에 따라 주민 주거만족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단독주택, 연립다세대주택, 아파트 및 자가, 전세, 월세 등에 거주하는 주민의 서로 다른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주택정책을 수립함으로써 정책 수용성 제고가 가능하다. ③ 결혼여부, 소득여부, 고용형태 등 가구 특성에 따라 주거만족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정책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각 주체별로 세분화된 주택정책수립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④ 주택상태와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요인 간 우선순위를 토대로 주민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 범위와 대상을 선정하고 주민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Bottom-Up 방식의 주택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he housing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residential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housing condi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housing types, housing occupation types,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the Korea Housing Survey (2019) in the MOL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transfer the authority of housing policies to local governments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by region. Second, differentiated housing policies that can satisfy the need of residents are need because residential satisfaction differs according to housing types and housing occupation types. Third,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depending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marital status, income status, and employment typ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ubdivided housing policies for each subject.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bottom-up housing policies led by the local governments for improving residential satisfaction.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