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획된 행동 이론을 활용한 창원시 불법 주차의식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Illegal Parking Consciousness in Changwon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3 No.5
- : KCI등재
- 2021.10
- 2473 - 2482 (10 pages)
과거 주차공간 부족의 문제를 주차시설을 공급함으로써 해결하려 하였으나, 최근에는 환경적 문제·지속가능한 교통적 측면에서 주차수요를 관리해 나가는 형태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효율적 주차수요 관리를 위해서는 승용차 이용자의 차량 이용실태, 주차의식 조사 등을 통하여 맞춤형 주차관리 정책 수립이 바람직하고, 불법주차에 미치는 운전자의 심리적 변수가 불법주차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계획된 행동 이론(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불법주차 근절 의지에는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통제감(Perceived behavioural control)’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 보다는 ‘지각된 통제감(Perceived behavioural control)’이 불법주차 근절 의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불법주차 근절을 위해서는 운전자 심리적 의지를 제어할 수 있는 규범의식, 즉 불법주차로 인한 타인의 피해 정도를 시각화 혹은 계량화할 수 있는 정책홍보 및 상시 주차단속과 같은 강력한 규제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manage the demand for parking,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customized parking management policy through vehicle usage and parking awareness survey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s used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has a negative impact.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has a greater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than Attitude. In order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strong regulatory policies such as standard awareness that can control drivers psychological will, i.e., policy promotion and regular parking crackdown that can visualize or quantify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illegal parking.
1. 서론
2. 본론
3. 결론 및 향후 과제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