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718.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행위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Loan Loss Provisioning Behavior of Banks

DOI : 10.37727/jkdas.2021.23.5.2173
  • 117

본 연구는 최근 은행 대손충당금 적립 감소세에 주목했다. 아울러, 최근 대손충당금 적립기준의 근거를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에서 찾은 해외연구인 Danisman et al.(2021)의 연구를 참조했다. 따라서, 국내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의 배경과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간의 관련성 여부를 찾기 위해 실증연구를 시도했다. 본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은행의 총여신대비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신용위험에 근거해 조정되었다. 이는 EPU로 대리한 경제정책의 불확실성 증가가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늘린다는 Danisman et al.(2021)의 주장과 부합하지 않았다. 둘째, 고정이하 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의 경우 한국, 미국의 EPU, 미국 재정정책 불확실성증가에 의해 늘어나지 않았다. 셋째, 국내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 Danisman et al.(2021)의 주장과 일부 부합했다. 결론적으로 최근 들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은 은행들로 하여금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되어, 대출 축소를 위한 정부의 강한 규제는 적절하지 않을 듯싶다.

This study did pay attention to a recently decreased loan loss provisioning. Besides, current study reviews the result of Danisman et al. (2021), recently reported in the foreign country, that found the criteria for accumulation of loan loss provision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EPU). Accordingly, the study seeks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an loss provisioning and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hrough empirical study.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banks tend to adjust loan loss provisioning to total loan based on credit risk level. This evidence is not line with the result of Danisman et al. (2021) insisting that loan loss provisioning is proportional to increasing EPU as a proxy variable of economic policy uncertainty. Second, loan loss provisioning to non performing loan is not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Korean and U. S. EPU as well as that of U. S. fiscal policy uncertainty. Third, the more U. S monetary policy uncertainty is increased, the more loan loss provision is accumulated, and the evidence is partly line with the result of Danisman et al. (2021). Finally, it is thought that financial authorities’ strong regulation step for reduction of loan supply is not relevant because domestic banks recognize strongly the uncertainty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hike of federal fund rate U. S. as the risk, and will make loan loss provision accumulated.

1. 서론

2. 선행 연구 고찰

3. 기초 데이터 및 분석모형

4. 분석결과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