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기 중앙은행 제도의 도입과 변용
Introdu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Central Bank System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지
- 동방학지 제196집
-
2021.09297 - 319 (23 pages)
-
DOI : 10.17788/dbhc.2021..196.010
- 이용수 130

초록
대한제국은 1900년의 특립제일은행, 1903년의 대한제국중앙은행 등 두 차례에 걸쳐 중앙은행 설립을 추진하였다. 대한제국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제도를 모방하였으나 중앙은행의 핵심 기능인 국고금 취급과 은행권 발행에 있어서는 다른 방향으로 변용하였다. 대한제국은 일본이 장악한 해관세 징수권을 환수하여 재정의 충실히 기하려 하였고, 은행권 발행도 탄력적인 통화 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독자성이 발현될 수 있는 제도를 채택하였다. 한편 일본은 대한제국의 재정 상황과 운영 주체의 무능력 등을 들어서 자립적인 중앙은행 설립을 반대하고, 그 대안으로서 ‘대한중앙은행’안을 제시하였다. 이 안에 따르면 일본인 주주와 고문을 중심으로 중앙은행을 운영하도록 하여 대한제국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있었다. 대한제국 중앙은행 설립안은 재정 건전성 및 정화준비의 실태 등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하는 데에는 시행착오의 유예기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일본도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안정적인 제도를 확립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한제국은 이런 시도조차 하지 못한 채 자주적 화폐금융제도의 수립은 좌절되고 말았다.
The Korean Empire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bank twice: the Special First Bank in 1900 and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Empire in 1903. The Korean Empire basically imitated the Japanese system but transformed it in different directions in terms of handling the national funds and issuing bank notes, which are the core functions of a central bank. The Korean Empire tried to redeem the sea customs tax collection rights held by Japan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its finances. On the other hand, Japan op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entral bank, citing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incompetence of the operating entity, and proposed a plan for the “Korea Central Bank”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this plan, Japanese shareholders and advisors would run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Empire, thereby denying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Empire. It is true that there were problems in the plan to establish the Central Bank of the Korean Empire in terms of the capability of its operating entity and the actual gold coverage situation. However, a certain grace period length for trials and errors is normally required to introduce and apply a new system. Japan eventually established a stable system while undergoing several trials and errors, while the Korean Empire fail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without even making such an attempt.
목차
1. 머리말
2. 중앙은행의 조직 및 운영
3. 은행권 발행제도
4. 일본 측의 대응: ‘대한중앙은행’ 설립안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9)
- 유희 『物名考』에 수록된 한글대응어의 가치
- 연극치료 텍스트로서 <자전거>에 관한 연구
- 『조선신문』 소재 최찬식 소설 연구
- 1960년대 중반 울산을 무대로 한 초국자본의 투자 경쟁과 공업화
- 『학산초담(鶴山樵談)』 재고찰
- 다른 빛깔의 어둠들
- 조찬한과 이옥의 부 문학 비교 연구
- 『제국신문』의 국문 인식과 한글 독자(1)
- 안중근 가문의 여성들
- 박정희 시대 육아용 분유의 국산화
- 미얀마 민주화 운동 속 소수인종·여성·난민 (1)
- 국민 탄생의 역사와 안중근
- 대학 문제
- 한글의 문화사
- 편견 가운데 화합을 위한 모색
- 세종대 척도의 탄생
- 대한제국기 중앙은행 제도의 도입과 변용
- 신라 마립간기의 지방 통제와 上守吏의 기원
- 미얀마 군부, 시대 를 착각하고 세대 를 오해했다
추천 논문
-
현정환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 미래성장연구 제7권 1호 2021.06
-
한국에서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 관한 연구KCI등재임병하(Byung-Ha Lim), 최석범(Seok-Beom Choi) 중앙대학교 한국디지털무역연구소 디지털무역리뷰 제18권 제4호 2020.11
-
전홍택 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 기타 간행물 한국 경제개혁 사례연구 2002.04
-
유종권 한국경제통상학회 경제연구 한국경상논총 제18권 제1호 2000.06
-
김미진(Kim Mi Jin) 한국공공정책학회 공공정책연구 공공정책연구 제20호 2006.06
최근이용논문
-
추성실(Sung Sil Chu), 김귀언(Gwi Eon Kim), 노준규(Juhn Kyu Lo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제12권 제2호 1994.08